X

매각 부담 높아진 HMM, 홀로서기 전략은 ‘벌크 비중 확대’

김경은 기자I 2024.05.22 06:00:00

중장기 경영전략 곧 발표
영구채 전환…채권단 관리기간 길어질 듯
홀로서기 전략…벌크선 비중 3배로 늘린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컨테이너에 치우친 HMM(011200)이 중장기 전략으로 벌크선 비중을 높이는 중장기 전략을 통해 홀로서기에 나설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HMM은 지난 2022년 7월 이후 2년여만에 중장기 경영전략을 수정발표한다. 막바지 검토를 거쳐 이르면 내달께 발표할 계획이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지난 20일 영구채 1000억원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중도상환청구권을 행사하면서 산은과 해양진흥공사 합산 지분율은 1.2%포인트 상승(59.1%)해 매각 대상 지분 물량이 확대하면서 향후 매각 부담은 더 높아지게 됐다.
HMM 컨테이너선/사진=HMM 제공
이에 따라 채권단 관리기간이 길어질 가능성을 대비해 중장기 경영전략을 통해 홀로서기 전략이 구체화될 전망이다. HMM은 컨테이너 시황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벌크선 매출 비중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컨테이너선은 현재 중동 지정학 이슈로 시황이 긍정적이지만, 내년초 해운동맹 재편에 따른 경쟁심화 가능성과 대규모 신조선 인도에 따른 공급부담으로 시황 둔화를 예상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200만TEU(1TEU는 6m여 길이 컨테이너 1개급) 이상의 신조선이 인도되면서 2025년 말 컨테이너 선복량은 2023년 초 선복량 대비 24%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앞서 HMM은 지난 4월 컨테이너선은 올해 말 기준 92만TEU(84척)인 선복량을 2030년 150만TEU(130척)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벌크 사업도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수익 확보, 컨테이너 사업과의 균형 성장을 위해 현재 630만DWT(36척)에서 2030년 1228만DWT(110척)로 3배 가량의 선대 확장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매출 구조에서 벌크선이 차지하는 비중이 6대 4 가량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김정훈 한국신용평가 수석애널리스트는 “컨테이너 매출 비중이 80%를 상회하는 등 컨테이너 시황에 따른 실적민감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나,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원가경쟁력 제고 및 선종다각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우수한 실적이 예상되지만 이후에는 실적 하방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선종 및 노선다각화 내지 컨테이너 시장 내 시장지위 제고 등을 통한 사업안정성 개선 여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