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치주 상승, 기업 밸류업·주식시장 회복 결과…비중 늘려야"

김보겸 기자I 2024.02.05 07:51:56

DB금융투자 보고서
"주식시장 회복 국면서 가치주 성과 양호"
증시 회복기간에 가치주 편입 비중 늘려야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최근 가치주 상승 요인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다만 그간 펀더멘털이 순환적인 저점에서 반등할 때 가치주의 상대성과가 탁월했다는 전례가 있다. 증권가에선 본질적으로 주식시장 회복에 초점을 두고 가치주 편입 비중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5일 “가치주 상승의 첫 번째 요인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라며 “주주환원 제고와 지배구조 개선을 바탕으로 한국 주식시장의 저평가 해소를 시도한다는 정책이 예고됐다”고 밝혔다.

해당 정책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리며 수급이 먼저 움직이고 있다는 점은 바람직하다고 봤다. 다만 강 연구원은 “한국 주식시장이 저평가받는 주된 이유는 비즈니스 순환 사이클이 짧기 때문”이라며 “이는 기업의 이익 변동성을 키우고 해당 주식에 대한 투자자 신뢰를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로 밸류에이션이 낮게 형성된다는 게 강 연구원의 지적이다. 그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가치주 상승을 이끄는 힘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가치주 상승의 두 번째 요인은 주식시장의 회복 국면에서 이뤄지는 전형적 특징의 발현이라고 했다. 강 연구원은 “펀더멘털이 순환적인 바닥권에 이른 후 반등하면 주식시장에서는 일차로 가치주가 상승한다”며 “한계 상황에 다가선 기업 주식은 저평가 상태에 이르고, 한계 상황에 이르렀던 기업 주가도 솟구치는 것”이라고 했다.

과거 사례에서도 주식시장의 회복 국면에서 가치주 성과가 양호했던 모습이 반복됐다.

결론적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의해 세간 관심이 쏠리는 것과 더불어 주식시장이 회복 국면을 맞은 점이 있기에 가치주가 강세를 보인다는 게 강 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는 “주식시장의 회복이 이뤄지는 기간 가치주 편입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