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태원 임시영안소 속 맥박 뛰던 이송자… 보디캠에 담긴 그날

송혜수 기자I 2022.12.22 07:23:13
[이데일리 송혜수 기자] “지금 있어? 맥박?” “아까 맥박이 한 번 뛰었거든요”

이태원 참사 당일 현장 인근에 차려진 임시 영안소로 옮겨진 시신 가운데 뒤늦게 맥박이 확인돼 급히 심폐소생술을 한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사고현장을 찾은 외국인이 지인을 추모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2일 SBS 등에 따르면 지난 10월 30일 0시 15분께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원들의 보디캠 영상에는 참사 현장 바로 옆 상가 1층 공실에 차려진 임시 영안소에서 한 소방대원이 다급히 심폐소생술을 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현장을 지휘하던 한 소방대원은 “지금 있어? 맥박?”이라고 물었고 심폐소생술을 시도하던 다른 소방대원은 “아까 맥박이 한 번 뛰었거든요”라고 답했다.

이에 “뛰었어?”라고 다시 묻자 해당 소방대원은 “네 혹시나 해가지고”라고 말했다. 질문을 이어가던 소방대원은 “그럼 (심폐소생술) 해. 여기다 조명등 하나 더 밝혀야 하는 거 아냐? 큰 거로 해서”라고 말했다.

영상대로라면 생존자가 시신과 함께 임시 안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사망자가 속출하는 극도의 혼란 속에서 생존자 구조, 분류, 이송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정부는 응급 의료 대응에 문제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송 과정과 이송을 한 후에 그로 인해 응급환자, 중환자, 경환자의 응급의료 대응에 지장은 없었다고 제가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인 김교흥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SBS에 “살아 있는 사람이 임시 영안소에 있었던 문제의 원인은 참사 발생 2시간이 지나도록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소방청은 영상 속의 이송자는 재난의료지원팀(DMAT)이 지연환자(사망판정)로 분류한 뒤 현장 안치하던 사망자였고, 용산소방서 소속 구조대원이 사망자를 임시 영안소로 옮겨 바닥에 내려놓는 순간, 동료 대원의 숨소리를 사망자의 숨소리로 혼동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태원 참사

- 이재명 “‘이태원 참사’ 국조, 당연히 연장…최선 다할 것” - 이태원역장 구속영장 ‘임박’…서교공 노조 “책임 전가 말라” - 이태원 참사 대책 내년 1월 나온다…"행사 안전관리 주체는 지자체"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