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마이야기]수영 잘 하는 경주마, 경주로에서도 더 빠를까

이진철 기자I 2020.04.18 08:00:00

경주마 전용 수영장 국내 3곳, 오랜역사 말 훈련법
부상 방지 및 심폐기능 강화, 수영 훈련 효과적

한국마사회 제공
[세종=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지난 3월18일 서울 한국마사회 과천경마공원에 경주마 수영장이 개장했다. 개장 첫날부터 경주마들이 거친 숨을 내쉬며 줄줄이 수면을 가리는 이색 풍경이 펼쳐졌다.

경주마들을 위한 전용 수영장이 국내에 3개소나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말 수영은 오랜 역사를 지닌 말 훈련법이며 현재는 경마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할 정도로 그 효과가 상당하다 인정받고 있다.

◇ 고대 로마시대 군마(軍馬) 수영훈련으로 지구력 길러

평균 체중 약 500kg에서 많게는 1톤에 달하는 ‘말’은 태생적으로 수영을 한다. 야생에서는 생존을 위해 물속으로 뛰어들었겠지만 사람에게 길들어진 말은 고대 때부터 훈련을 위해 수영을 해왔다.

로마시대, 나폴레옹, 아메리카인디언 등이 전쟁을 대비해 말의 지구력 향상을 목적으로 수영훈련과 수영경주를 실시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이는 경주마 훈련에도 적용됐다. 1937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해안수영을 실시한 경주마들이 좋은 성적을 거뒀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많은 국가에서 말 전용 수영장을 도입, 경주마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도 1986년부터 말 수영장을 개소하며 말 수영을 채택했다. 현재는 서울과 부산에 총 3개소가 운영 중이며 제주에서는 해안에서 개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 심폐능력·근육발달·재활까지 경주마 수영 효과

훈련이 한창인 말 수영장은 거친 숨소리가 시끄럽게 울린다. 경주마들의 흉곽이 수압에 의해 압박돼 평소보다 더 강하게 호흡해야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경주능력과 직접 연관된 심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소 사용하지 않던 주변 근육을 발달시킴으로서 육상 활동 시 지구력 향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말수영의 더 큰 목적은 재활기능이다. 관절염이나 인대부상 등 경주중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동기질환으로 인해 정상적인 훈련이 부담스러운 말에게 효과적이다. 충격의 부담이 적은 수영을 통해 환부 주변조직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냉찜질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재활효과를 통해 부상마의 컨디션 조절을 실시, 경주에 조기 복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게다가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미성숙 마필의 발육을 촉진시켜준다. 아울러 체중관리가 중요한 경주마의 비만을 방지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제주의 경우 해안에서 개별적으로 시행하는데, 바닷물의 삼투압으로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부질환 예방에도 효과를 보인다.

말 수영의 단계는 구체적으로 적응운동, 유산소운동, 무산소운동 순으로 진행된다. 처음 수영을 접하는 말은 적응을 위해 1분 정도만 수영을 실시한다. 물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기 시작하면 점차 시간을 늘려 느린 속도로 20분까지 확대한다. 유산소 운동의 경우 약 400m의 거리를 6∼7분 가량 사람의 보통걸음 속도로 진행한다.

가장 많은 체력을 요하는 무산소 운동의 경우 200m를 빠른 걸음 속도로 3~4분 진행한다. 이때 경주마는 지상에서 전력질주 하는 것과 맘먹는 훈련강도를 느끼게 된다. 이처럼 말 수영은 운동기 질환에 대한 걱정 없이 경주로에서와 유사한 훈련효과를 거둘 수 있다.

◇ 수영훈련이 경주성적에 미치는 효과는?

서울경마공원 경주마 중 가장 뛰어난 그룹인 1등급 경주마 87마리 중 약 절반이 수영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수영훈련 여부는 경주성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수영을 하지 않은 경주마의 승률이 일부 높기도 하다.

하지만 이중 7세 이상의 고령 경주마인 경우 수영훈련을 거친 말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3~4% 높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수영훈련이 관절과 인대의 부담을 줄여주기 때문에 경주마의 컨디션 조절은 물론 선수로서의 수명까지 늘릴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실제로 2019년 두바이 월드컵 결승에 출전했던 돌콩(이태인 마주, 배대선 조교사)을 비롯해 뉴시타델(이성재 마주, 배휴준 조교사), 상감마마(이관형 마주, 박병일 조교사)등 간판스타 경주마들도 부상 방지 및 심폐기능 강화를 위해 수영훈련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2018 브리더스컵 우승마인 부산경남 경마장의 킹삭스(김창식 마주, 김영관 조교사)는 다리부상으로 인한 오랜 공백을 딛고 1년 4개월만에 경주로로 복귀를 앞둔 상황에서 현재 수영훈련에 집중하며 컨디션을 끌어올리고 있다.

한국마사회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