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산 EV’ 보호하는 EU…혼란 빠진 글로벌 車시장

이다원 기자I 2024.06.12 06:00:00

EU 집행위, 이르면 금주 내 관세 인상
미국 이어 유럽까지 관세로 中 EV 견제
자국 산업 보호 vs. 中 보복 우려 '딜레마'
"공급망 타격 불가피…韓, 유탄 맞을 수도"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유럽이 역내 전기차를 보호하고자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주요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견제가 이어지면서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혼란도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중국 장쑤성 쑤저우항의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BYD 전기차가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AFP)
10일 완성차 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이르면 이번 주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조사를 마무리하고 이에 따른 관세 부과 방침을 고지할 전망이다. 작년 10월부터 EU는 과도한 유럽산 전기차 경쟁력 악화를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반(反)보조금 조사를 진행해 왔다. 현재로선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할 관세율이 종전 10%에서 최대 25~30%까지 올라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앞서 미국 정부도 오는 8월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기존 25%이던 관세를 100%로 인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지난해 유럽에 진출한 중국 BYD(비야디)는 핵심 모델인 ‘아토’를 현지 브랜드 대비 낮은 가격인 3만유로 후반대(약 5500만~5900만원)에 판매 중이다. 이에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 “유럽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것은 내연기관차나 제조 비용이 낮은 지역에서 수입하는 것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든다”며 저가 전기차에 대한 규제를 촉구한 바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럽에서 BYD 판매량이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현지 브랜드보다 가격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했고 마케팅도 적극적으로 펴고 있어 위협적일 수 있다”고 했다.

관건은 중국이 보복에 나설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이는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혼란이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 현지에 생산 시설을 세운 완성차 기업이 무수히 많기 때문이다. 르노그룹, 폭스바겐그룹 등 유럽 내 완성차 그룹들이 속속 중국에 생산 거점을 운영하는 상태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 원장은 “독일, 프랑스 완성차 브랜드가 중국에 들어간 상황인 만큼 유럽 (당국의) 고민도 커질 것”이라며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도 중국 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도 아니다”고 했다.

국내 완성차 브랜드도 중국산 견제의 유탄을 맞을 가능성이 커졌다. 유럽 당국이 포괄적 관세 부과를 예고할 경우 한국 브랜드도 영향을 피할 수 없고, 시장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기도 어려워졌다. 완성차 부품 공급망 대부분을 중국이 장악한 상황인 점도 부담이다.

이항구 원장은 “자동차 전장부품 중 중국산 비중이 65% 수준일 것으로 추산되는 상황에서 중국이 수출 중단을 한다면 우리 완성차 업계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현대차·기아뿐만 아니라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 등 국내 중견 완성차 기업도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완성차 산업 전체를 봤을 때 자칫 한국이 ‘넛크래커(Nutcracker)’ 국면에 빠질 수 있다”고도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