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시아나, 대한항공과 대양주 양자구도 끝?..20년만에 괌 간다

신정은 기자I 2017.04.19 06:00:00

에어서울과 9월부터 공동운항..항공권 직접 판매
LCC 등장으로 양대 항공사 독점 구도 깨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이데일리 신정은 기자] 아시아나항공(020560)이 20여년 만에 괌 노선 취항을 추진하면서 대한항공(003490)과 양분화했던 대양주 노선의 경쟁구도가 깨졌다. 저비용항공사(LCC)의 등장으로 항공 시장에 변화가 찾아온 것이다.

1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의 LCC인 에어서울은 오는 9월 취항 예정인 인천-괌 노선의 공동운항(코드셰어·Codeshare)을 요청하는 문서를 이달 미국 교통부에 제출했다.

문서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인천-괌 노선과 관련된 광고를 진행하고 티켓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또 “두 항공사가 공동운항을 하게되면 에어서울과 아시아나항공이 모두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고 승객과 화주 등에 다양한 서비스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괌 노선은 운수권이 없어 항공사가 취항 신청만 하면 비행기를 띄울수 있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9월부터 에어서울과 함께 ‘OZ’라는 편명으로 인천-괌 노선을 판매하게 된다.

양대 국적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그동안 암묵적으로 상대방의 단독 노선에 신규 취항하지 않았다. 양쪽이 모두 손해를 보는 치킨게임이 될 수도 있어서다. 대신 자사 단독노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선점 효과를 키우는데 심혈을 기울여왔다.

대양주 노선은 대한항공이 괌을, 아시아나항공이 사이판을 각각 취항하며 양분화하고 있었던 시장이다. 1995년 괌 노선에 취항했던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2003년 운항을 중단한 이후 20년동안 이곳에 비행기를 띄우지 않았다.

그러나 LCC가 등장하면서 양대 항공사의 독점구도가 깨지기 시작했다. LCC는 그동안 대형 항공사의 관행에 관계없이 수요가 있는 노선에는 모두 진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월에는 대한항공의 LCC인 진에어가 인천-사이판 노선을 취항하면서 사실상 양사의 ‘신사협정’에는 금이 가기 시작했고, 이번 취항으로 양분화했던 경쟁구도가 끝이 난 셈이다.

인천-괌 노선의 경우 진에어는 물론 제주항공(089590)과 티웨이항공도 모두 취항하고 있다. 다른 LCC가 모두 진출해 수요를 나누고 있는 상황에서 아시아나항공만 수익성 좋은 노선을 놓칠 순 없었던 것.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괌 노선의 공급은 지난 3년간 약 70만에서 100만으로, 수요는 같은 기간 약 60만에서 90만으로 크게 증가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말 기준 △국내선 10개 도시 △국제선(여객) 23개 국가, 65개 도시 △국제선(화물) 12개 국가, 27개 도시를 운항하고 있다. 국내선 13개 도시, 국제선 45개국 118개 도시에 비행기를 띄우고 있는 대한항공에 비해 미주, 유럽 등 장거리 노선이 적고 LCC가 뛰어든 중국, 일본, 동남아 등 단거리 국제노선에 치우져 있다. LCC 공격에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해진 아시아나항공으로서는 장거리 국제노선 취항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자회사인 에어서울이 괌 노선을 취항하면 네트워크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오는 6월 인천-베네치아 노선에 전세기를 운항하는 등 미주, 유럽 노선에서 증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의 단거리 국제 노선을 노리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의 단독 노선인 인천-오키나와 노선에 주 7회 운항하는 정기편 취항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LCC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양자 구도는 사실상 무너졌다”며 “양대 항공사는 앞으로 LCC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차별화 전략을 강화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