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4월 소비자심리지수 넉달 연속 상승…소비자는 이미 코로나 잊었다

이윤화 기자I 2021.04.28 06:00:00

3월 소비자심리 지수 100 상회한 이후 1.7p 추가 상승
소비자심리지수, 현재생활과 향후 경기전망 모두 맑음
금리수준과 물가수준전망 내리고 임금 개선 기대 올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사전 오픈한 ‘더현대 서울’을 찾은 시민들이 쇼핑을 하고 있다.(사진=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소비자심리지수가 넉달 연속 상승해 지난해 1월(104.8) 수준까지 올랐다. 지난 3월 100.5를 기록해 처음 기준점인 100을 상회한 이후 4월 들어서도 102.2를 나타내 두 달 연속 100을 상회했다. 수출 호조 지속이나 백신접종 이어지는 점, 고용지표 개선 등 긍정적인 소식이 이어진 영향이다. 이는 향후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이 더 늘었다는 것으로, 소비 심리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1년 4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2.2로 전월대비 1.7포인트(p)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들어 넉달 연속 올랐다. 다만 상승 폭은 1월 4.2p, 2월 2p, 3월 3.1p로 줄어든 모습이다. 소비자심리 지수 자체는 코로나 이전 수준에 가까워졌지만, 여전히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백신보급률 등 불확실성이 남은 탓이다.

자료=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 구성의 기여도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등 총 6개로 구성되는데 현재생활형편과 가계수입전망 기여도가 각각 0.5에서 0.8로, 0에서 0.4로 상승했다.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개선되는 흐름을 보였다. 현재생활형편CSI 및 생활형편전망CSI는 전월대비 각각 3p, 1p 상승한 92, 96을 기록했다. 가계수입전망CSI도 97을 기록, 전월대비 1p 상승한 반면 소비지출전망CSI(106)는 전월대비 1p 하락했다.

경기 상황에 대한 인식도 많은 개선을 보였다. 현재경기판단CSI(77) 및 향후경기전망CSI(94)는 전월대비 각각 5p, 1p 올랐다. 특히 주목할 점은 취업기회전망CSI다. 취업기회전망CSI(86)는 전월대비 2p 상승했다. 다만, 금리수준전망CSI(112)는 한은의 금리 동결 등의 소식에 전월대비 2p 하락했다.

또 가계저축과 가계부채에 대한 인식도 개선됐다. 현재가계저축CSI(94) 및 가계저축전망CSI(97)는 전월대비 각각 1p, 2p 상승했다. 현재가계부채CSI(103)는 전월대비 1p 하락했다. 다만, 가계부채전망CSI(101)는 전월대비 2p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와 주택 가격 전망은 내렸고 임금수준에 대한 전망은 오르면서 소비심리 개선에 영향을 줬다. 물가수준전망CSI(145)는 전월대비 1p 하락, 주택가격전망CSI(122)는 전월대비 2p 하락했다. 반면, 임금수준전망CSI(113)는 전월대비 1p 상승해 임금 상황 개선 기대가 소폭 올랐다.

황희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 팀장은 “수출 호조 지속이나 백신접종 이어지는 점, 고용지표 개선 등 좋은 뉴스가 많아 소비심리가 넉 달 연속 오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외부 활동 많아지면서 소비심리 더욱 커질 수 있지만 거리두기 단계는 아직 2단계인데다 코로나19 일평균 확진자 수 역시 많은 수준이어서 소폭 상승에 그쳤다. 지난달 장기 평균선에 근접했는데 이달 소폭 더 상승하면서 코로나19 이전인 2020년 1월 수준에 거의 근접했다고 보여진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