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충청권 인구 블랙홀 세종시…유망기업도 잇따라 이전

박진환 기자I 2016.06.07 06:30:00

2012년 이후 대전서 세종이주 5만5200명 달해
"수도권 과밀해소 대신 충청권 인구공동화 조장" 비난도
세종시 분양계약 체결 30개 업체 중 17개가 충청기업
토지 5년간 무이자 임대·취득세 75% 감면 등 파격지원

[세종=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지난달 말 기준 세종시 인구는 23만 1552명이다. 2012년 7월 출범 당시 10만 751명이었던 세종시 인구는 불과 4년 만에 2배 이상 늘었다. 2020년까지 30만명을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정부는 2030년까지 인구 50만명의 자족도시를 건설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50만명의 대부분은 중앙부처 이주 공무원을 중심으로 서울과 수도권 인구의 지방유입으로 채워질 것으로 봤다. 그러나 현재 세종시는 중앙부처 이주 공무원을 제외하면 대전과 충남·북에서 유출된 주민들로 채워지면서 심각한 ‘블랙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전시와 충남도, 충북도 등 인근 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인구 지키기에 고심하고 있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세종시 블랙홀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세종시 인구 블랙홀에 충청권 비상

세종시에는 현재 8만 8256가구, 23만 1552명(5월 말 기준)이 거주하고 있다. 세종시의 ‘2030 도시기본계획’을 보면 2020년에는 예정지역 30만명에 읍·면지역 11만 6000명, 2030년까지 예정지역 50만명에 읍·면지역 30만명을 합해 모두 80만명이 거주하는 도시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이다.

세종시 거주 인구의 평균 연령은 36.3세로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이자 인구 유입이 가장 빠른 도시다. 그러나 세종시가 빛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인근 도시들은 인구 유출로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특히 대전시의 상황이 가장 심각하다. 통계청 ‘3월 국내인구이동’ 현황에 따르면 대전의 순이동률은 -0.08%로 서울(-0.09%) 다음으로 인구감소가 많았다. 1992년 113만명으로 출발한 대전시는 2014년까지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지만 세종시 출범과 함께 인구 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2014년 첫 감소를 기록한 뒤 현재까지 순유출이 이어지면서 올해 2월 말 기준 대전의 주민등록상 인구는 151만 7118명이다. 정점이었던 2013년 153만 2811명과 비교해 1만 5693명(1.02%)이 줄어든 상태다.

세종시가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공식 출범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대전에서 모두 4만 9280명이 전입했고, 올해 들어서는 지난 3월까지 모두 5920명이 이주했다. 세종시 전입 인구인 20만 5117명 중 26.9%(5만 5200명)가 대전에서 왔고, 뒤를 이어 경기(13.4%), 충남(10.7%), 충북(10.4%), 서울(10.3%) 등의 순이다. 수도권 과밀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조성한 세종시가 수도권 대신 충청권 인구를 빨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관련 전문가들은 “세종시에는 올해도 2만여가구의 공동주택이 새로 공급될 예정인 반면 대전과 충남, 충북 등지에서는 새로운 주택공급이나 일자리 등 인구 유입에 필요한 요인이 거의 없다”며 “당분간 세종시로의 인구 유출은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충청권 기업들도 ‘세종행’ 러시 …대전경제 휘청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투자 및 기업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인 세종시의 부족한 자족기능을 확충하기 위해서다.

행복청은 자족기능 확충을 위해 행복도시에 입주하는 대학, 연구기관, 종합병원 등 주요 앵커시설에 대한 지원제도를 마련했다. 또 BT·ET·IT 융복합 중심의 첨단산업 육성을 통한 성장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6월 4생활권 일부에 75만㎡ 규모를 도시첨단산업단지(세종테크밸리)로 지정했다. 첨단 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의 입주 및 창업지원 등을 위해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도 설계에 들어갔다.

각종 지원 및 혜택 또한 파격적이다. 입주기업에게는 5년간 토지대금에 대한 무이자 할부 지원과 함께 기업 종사자를 위한 주택특별공급, 취득세와 재산세의 75%를 감면준다.

신생·벤처기업의 창업 및 성장을 지원하는 공공임대형 산학연 클러스터 지원센터도 착공, 2018년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세종시 역시 기업·투자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세종시는 철도교통 융복합 산업단지, 벤처밸리, 도시첨단 산업단지 등 4개의 신규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한편 100개의 우량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또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와 협업해 신재생에너지, 사물인터넷(IoT) 산업 등 신성장 산업을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지난해 SK바이오텍 등 70개의 대기업 및 우량기업을 유치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현재 분양 중인 명학산업단지의 분양 현황 자료를 보면 세종시와 분양계약을 체결한 30개 업체 중 17개 업체가 대전과 충남·북 업체들이다. 결국 세종시에 들어오려는 업체 중 60% 이상이 충청권에서 유출되고 있는 것이다.특히 이 가운데 12개는 대전지역 업체들로 지역내 우량·중견기업들의 세종행 러시가 계속되면서 대전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지역 경제계 인사들은 “세종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지가 상승율이 높고, 기업이전에 따른 인센티브도 다른 지역보다 많다. 기업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투자 가치가 높고, 중앙·지방정부의 지원이 많은 곳을 선호할 수 밖에 없다”며 “당분간 세종행을 택하는 대전과 충남·북 업체들이 더 늘어나 대전 등 인근 지역의 경제활력이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