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정은 답방 北답변 기다리는 靑…주말 분수령

원다연 기자I 2018.12.08 07:00:00

靑 "김정은 답방 관련 오늘 발표 없다"
北 이달 중순 이후 주요 정치일정 이어져
연내 답방 이뤄진다면 17일 전후…이주 답변 와야
전문가 "연내 답방 쉽지 않을 것…어느쪽으로든 의중 파악"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20일 삼지연초대소를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산책을 하며 대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놓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말 또는 내주 초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이달 정치 일정을 고려할 때 늦어도 이번 주말이나 내주 초까지는 김 위원장의 답방 여부과 관련해 답변을 보내와야 일정을 조율할 수 있는 만큼 청와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청와대는 7일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을 열어놓고 여전히 신중모드를 이어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내 답방 성사를 위해 북측으로부터 답변을 받아야 하는 마지노선’에 대해서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6일)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북한으로부의 소식이 안왔다”고 확인한 데 이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에도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한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여부는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북한 내부적으로 이달 중순 이후부터는 주요 정치일정이 줄줄이 예정돼 있어서다. 17일은 김정일 부위원장의 기일이며 24일은 김정은 위원장의 할머니인 김정숙의 탄생일, 27일은 북한의 7대 명절 중 하나로 꼽히는 헌법절이다. 이어 30일은 김 위원장이 최고사령관으로 추대된 날이며, 이튿날인 1월 1일에는 북한 주민을 상대로 신년사가 발표돼야 한다.

이같은 일정을 고려해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이뤄진다면, 17일 이전이 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앞서 지난 9월 19일 평양 정상회담 당시, 우리측 선발대는 회담 3일 전인 16일에 북측에 도착했다. 지난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 당시에도 김 위원장의 집사로 불리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은 앞서 한차례 싱가포르에 다녀간 뒤, 회담 5일 전인 7일 싱가포르에 먼저 도착해 숙소와 동선 등을 점검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의 답방에도 김 부장 또는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이끄는 선발대가 최소 답방일 3~5일 전 사전점검의 시간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17일 전후 답방을 위해선 이번 주말 또는 늦어도 다음주 초까지는 북측으로부터 답변이 있어야 하는 셈이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된 대로 가급적이면 연내 답방하는 방향으로 북측과 협의해 오고 있다”며 “기본적으로 합의대로 이행하겠다는 의지는 분명하지만, 북측에서 구체적 답은 주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는 우리 정부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은 9·19 합의사항을 이행한다는 차원이지, 실질적으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지난 4월 변경한 ‘경제건설 총력집중’ 노선의 성과를 정리하고 내년 신년사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으로 북미 고위급회담도 벅차서 고민이 많은 상황”이라며 “북미 협상 구도 차원에서 미국에 무언가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로 문재인 대통령을 활용하겠다는 절박함이 있지 않은 이상, 오히려 답방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무언가를 내놔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북한의 답변은 어느쪽으로든 북한의 의중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라며 “답방을 미룬다면 북미 대화를 우선으로 하고 남북 대화를 하겠다는 의사로 받아들일 수 있고, 연내 답방을 받아들인다면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정상급에서 전할 메시지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