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와 기업]①실적 좋은 계열사, 광고 기여도도 좋네

성문재 기자I 2017.04.15 06:10:00

800만 관중 돌파..매년 수조원대 경제 파급효과
M&A로 편입한 신규 계열사, 유니폼 통해 홍보
실적 개선 뒤엔 광고 기여 ↑..구단 없어도 가능

SK 와이번스 용병 투수 켈리의 모자와 유니폼에 ‘SK가스’, ‘MAGIC’이 새겨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2017 타이어뱅크 프로야구가 개막한 지 만 2주가 지났다. 아직 초반이지만 작년과는 확연히 다른 순위 판도가 야구팬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작년 800만 관중을 돌파하며 국내 프로스포츠 리그 사상 최초의 기록을 작성한 KBO(한국야구위원회) 리그는 올해도 800만명 이상의 관중을 유치한다는 목표다.

국내 대기업들은 수조원대의 경제 파급 효과를 낳고 있는 프로야구를 활용해 치열한 광고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올해는 각 기업들이 새로 인수한 회사를 선수들의 유니폼에 데뷔시켰고 작년에 실적이 크게 개선된 계열사들의 존재감이 커졌다.

◇유니폼·헬멧에 존재감 ‘우뚝’

SK가스(018670)는 SK 와이번스 유니폼은 물론 인천 SK행복드림구장에서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다. 작년 시즌에는 타자 헬멧에만 등장했지만 올해부터는 수비 모자에도 당당히 이름을 새겼다. 전광판 양옆 광고판에도 SK그룹 핵심 계열사 SK텔레콤을 대신해 SK가스가 자리를 차지했다.

SK가스는 지난해 매출 5조2547억원, 영업이익 1805억원, 당기순이익 1886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8.8% 늘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93.0%, 157.6% 증가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석유화학용·산업용 LPG(액화석유가스) 수요가 늘어난 것이 실적 개선에 큰 힘이 됐다.

SK가스는 SK그룹 내에서 SK이노베이션(096770), SK텔레콤(017670), SK하이닉스(000660)에 비하면 매출 규모가 작지만 와이번스 구단주인 최창원 부회장이 대표이사로 있는 회사다. 최 부회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사촌동생이자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의 친동생이다. 2014년 시즌부터 구단주를 맡고 있는 최 부회장은 중·고교 시절 야구선수가 꿈이었을 정도로 야구를 사랑하는 마니아다.

뿐만 아니라 와이번스 선수들 오른쪽 가슴에는 올시즌부터 ‘MAGIC’이라는 글씨가 새겨졌다. SK네트웍스(001740)가 작년 인수한 SK매직(옛 동양매직)이 새롭게 광고에 참여한 것. SK네트웍스는 작년부터 최신원 회장이 이끌면서 SK매직 인수와 패션사업 매각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대대적으로 재편하며 올해 턴어라운드를 예고했다.

허경민(왼쪽) 선수의 모자와 김성배 선수의 소매에서 ‘밥캣’, ‘두산중공업’을 볼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두산 베어스 선수단 유니폼에는 두산중공업(034020)두산밥캣(241560)이 새겨져 있다. 유니폼 왼쪽 소매와 타자 헬멧 우측에 두산중공업이 들어가고 두산밥캣은 수비 모자 오른쪽에 자리잡았다.

지난 2015년 27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두산중공업은 작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그룹 차원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순조롭게 마무리되면서 원가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수익성이 좋아졌다. 특히 신규 수주가 회복하면서 향후 실적 기대감이 커졌다.

지난해 국내 증시에 상장한 두산밥캣 역시 작년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을 개선하며 성과를 냈다. 향후 제품과 사업구조를 다변화하고 현금 창출능력을 극대화한다는 중장기 전략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롯데 자이언츠 용병투수 레일리의 모자에 ‘롯데첨단소재’가 자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롯데 자이언츠 선수단은 올해 롯데첨단소재라는 낯선 글자를 수비 모자에 박았다. 롯데첨단소재는 지난 2015년 10월 롯데그룹과 삼성그룹간 화학사 빅딜을 통해 인수된 옛 삼성SDI 케미칼사업부문이다. 작년 4월 사명 변경을 통해 롯데첨단소재로 새출발했다. 롯데케미칼(011170)이 지분 90%를 취득했고 삼성SDI가 지분 10%를 아직 갖고 있다. 작년 매출 2조3790억원에 영업이익 3010억원을 올렸다. 전년 대비 매출은 8.5%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45%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2.7%에 달했다.

한화 이글스 정근우 선수의 헬멧에 ‘한화토탈’이 찍혀있다. (사진=연합뉴스)
한화 이글스도 올해 한화토탈과 함께 하게 됐다. 자리는 타자 헬멧 우측이다. 삼성그룹에서 넘어와 2015년 5월부터 ‘한화’ 간판을 단 한화토탈은 작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명실상부한 한화 가족으로 입지를 굳혔다. 한화토탈은 작년 매출 8조1853억원, 영업이익 1조4667억원, 당기순이익 1조70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소폭 줄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전년 대비 84%, 107.5% 증가했다.

◇언제나 항상 그자리 지키는 대표상품

삼성 라이온즈와 LG 트윈스는 TV 중계에서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주력 계열사의 대표 상품을 광고하고 있다. 라이온즈와 트윈스 타자의 헬멧에는 각각 갤럭시 S8과 LG G6가 터줏대감 역할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가 작년 갤럭시노트7의 아픔을 딛고 올해 야심차게 선보인 갤럭시S8은 출시 전 예약판매가 전작 S7을 훌쩍 뛰어넘었다. 국내 예약 판매대수는 이미 70만대를 넘었고 삼성전자는 오는 21일 출시 전까지 100만대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G6는 지난달 출시 이후 돌풍을 일으키며 LG전자(066570) 실적에 큰 힘이 되고 있다. 지난 1분기 LG전자 영업이익(9215억원)이 8년만에 최고치를 찍는 데에도 일조했다.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삼성 라이온즈 백상원 선수의 헬멧에 ‘갤럭시S8’이 보인다. LG 트윈스 서상우 선수 헬멧에는 LG G6가 새겨져 있다. 기아 타이거즈 안치홍 선수 헬멧과 유니폼에는 ‘니로’, ‘쏘렌토’가 자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1)
기아 타이거즈는 유니폼 곳곳에 주력 차종을 숨은그림찾기 하듯 배치해놨다. 수비 모자에는 중형 세단 K5가, 타자 헬멧에는 친환경 소형 SUV 니로가 위치했다. 그리고 유니폼 뒤 목 바로 아래 부분을 보면 작은 글씨의 ‘쏘렌토’를 찾을 수 있다.

쏘렌토는 지난달 기아차(000270) 차종 중에 세번째로 많이 팔렸다. 니로도 6개월만에 월간 판매 2000매를 넘어서는 등 인기를 되찾고 있다. 반면 K5는 지난 2015년 전면변경 모델을 출시한 이후 3년차에 접어들면서 판매량이 주춤하고 있다. 기아차는 중형 세단 대표 모델인 K5를 다시 띄우기 위해 이달 고성능 모델 K5 GT를 출시했다.

구단 없는 기업들의 프로야구 활용 마케팅도 눈에 띈다. 울산에 공장을 두고 있는 에쓰오일(S-OIL(010950))은 올시즌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부산 사직야구장에 구도일 캐릭터 대형 조형물을 설치해 브랜드 알리기에 나섰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프로야구는 명실공히 국내 최고 인기스포츠인 만큼 이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와 캐릭터 가치를 높이고, 지역판매를 늘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쓰오일이 부산 사직야구장에 선보인 자사 마스코트 ‘구도일’ 조형물 모습. 에쓰오일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