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전, 왜 자꾸 오르나?…‘2030외지인’ 싹쓸이

강신우 기자I 2020.03.23 05:10:09

대전 집값 작년5월부터 상승세 지속
투기 몰린 유성구, ‘2030’ 매입최다
“규제 지역 지정 마다할 이유 없어”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대전의 아파트 가격이 ‘코로나19’ 여파에도 꺾일 줄 모르고 고공 행진하고 있다. 정부가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규제 정책을 펴면서 지난해 말부터 투자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12월에는 20·30대의 외지인이 매수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2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대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12·16 대책과 올해 2·20 대책과 무관하게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3월 3주차(16일 기준)가격 변동률은 0.46%로 전주 0.40%대비 0.06%P(포인트) 올랐다. 전국적으로 세종의 1.00%에 이어 매매가격 변동률 2위다. 올해 누적 상승률은 4.72%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0.29% 보다 4.43%포인트 올랐다. 감정원 조사에서 서울은 3월 3주차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이 0.00%를 기록하며 보합세를 보였고 수도권 0.29%, 전국이 0.17% 상승에 그친 것에 비하면 큰 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전의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5월부터 오르기 시작했다. 월간 아파트 매매동향을 보면 지난해 △5월 0.18% △6월 0.37% △7월 0.36% △8월 0.96% △9월 1.18% △10월 1.54% △11월 1.47% △12월 1.43% 등 꾸준히 오름세다.

(자료=한국감정원)
지난해 집값 상승분은 2020년 공공주택 공시가격에도 반영됐다. 공시가격은 실거래가격을 바탕으로 산정된다. 지난 18일 정부가 발표한 올해 대전의 아파트 공시가격 변동률은 14.06%로 서울의 14.75%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 대전의 공시가 상승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한 건 2012년의 10.8% 이후 8년 만이다.

대전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를 부추긴 아파트 매입에는 관내 지역민뿐만 아니라 외지인이 ‘큰 손’ 역할을 했다.

매입자거주지별로 외지인(서울+관외) 매입은 지난해 12월 정점을 찍었다. 아파트 매수 총 4082가구 거래에 중 외지인이 900명, 지역민(관내)이 3182명으로 외지인이 거래비율은 22%였다. 이후 1월에는 21% 지난달엔 20%를 기록해 외지인 매입 비중은 집 5채 중 1채 꼴이다.

장대동 재개발 등으로 투자수요가 몰린 유성구는 20·30대 외지인이 휩쓸다시피 했다. 유성구는 같은 기간 외지인 매입 비율이 29%에 달했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가 아파트 1250가구 중 368가구를 사들였다. 연령대 비율로 보면 29.4%를 차지했다.

감정원 관계자는 “대선 유성구는 우수한 교통 및 교육환경이 잘 갖춰져 전통적으로 선호도 및 대기 수요가 높은 지역인데다 올해 새 아파트 분양 기대 효과도 겹치면서 상승폭이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대전의 집값 과열 현상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1~2년간 서울 및 수도권과 비수도권 및 지방이 다른 가격 상승세 추이를 보여왔고 그런 측면에서 대전은 일단 비규제 지역으로 두었다”며 “하지만 대전 집값 과열현상이 지속하면 규제지역 지정을 마다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