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뉴욕증시, 기업 호실적에 상승…상반기 대기업 시총 350조↑[뉴스새벽배송]

원다연 기자I 2023.08.01 07:53:21

S&P지수 7월 3.4% 오르며 5개월 연속 상승
中 제조업 PMI 50 밑돌아, 경기 수축 지속
상반기 대기업집단 시가총액 350조 증가
尹 “아파트 부실공사 전수조사” 지시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간밤 뉴욕증시는 기업들의 강한 실적이 이어지며 상승 마감했다. 7월 기준으로 보면 다우 지수는 한 달간 3.4%가량 올랐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3.1%, 4.1%가량 상승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5개월 연속, 다우지수는 2개월 연속 올랐다.

S&P500지수가 5개월 연속 오른 것은 2021년 8월 이후 처음이며, 나스닥지수가 5개월 연속 오른 것은 2021년 4월 이후 처음이다.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보다 견조한 모습을 보이며 주가를 뒷받침하고 있다.

상반기 대기업 집단 상장사 시가총액이 연초 대비 24%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차전지 관련주 주가 폭등에 포스코그룹이 6위에서 5위, 에코프로그룹은 15위에서 6위로 각각 올라서며 시총 순위도 요동쳤다.

다음은 1일 개장 전 주목할 만한 뉴스다.

(사진=AFP 제공)
뉴욕증시, 기대 이상 실적에 상승…고용보고서 주목

-간밤 뉴욕증시는 강한 실적이 이어지며 상승 마감.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0.24포인트(0.28%) 오른 3만5559.53으로 거래를 마침.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73포인트(0.15%) 상승한 4588.96으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9.37포인트(0.21%) 뛴 1만4346.02로 장 마감.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보다 견조한 모습을 보이며 주가를 뒷받침. 팩트셋에 따르면 지금까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이 절반을 넘어선 가운데, 이 중 80%가 예상치를 웃도는 주당순이익(EPS)을 발표. 또한 64%의 기업이 예상치를 웃도는 매출을 발표. 이번 주에는 아마존, 애플, CVS헬스, 스타벅스 등의 기업 실적이 나올 예정.

-투자자들은 이번 주 나올 고용 보고서도 주시.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7월에 비농업 신규 고용이 20만명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 이는 전달의 20만9000명과 비슷한 수준이며, 실업률은 3.6%로 전달과 같을 것으로 예상.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9월 금리 결정과 관련해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며 지표에 따를 것이라고 밝혀.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에 금리를 인상할 수도, 동결할 수도 있다며 이는 모두 지표에 달렸다고 밝혀.

중국 7월 제조업 PMI 49.3…4개월 연속 경기수축 국면

-중국의 공식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3으로 집계. 4개월 연속 50 아래로 떨어지며 경기 수축 국면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국의 제조업 PMI는 코로나19가 중국 전역에서 확산하던 지난해 12월 47.0으로 팬데믹 초기인 2020년 2월(35.7)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지만, 제로 코로나’ 정책이 공식 폐기된 올해 1월 50.1로 회복했고 2월에는 2012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52.6으로 올라서. 이후 3월 51.9로 ‘50 이상’을 유지했지만, 4월 49.2로 내려앉은 뒤 5월 48.8로 떨어져.

中 내수회복에 안간힘…유급휴가·탄력 근무제 장려

-중국이 내수 소비 활성화를 위해 추가 대책 내놔. 중국 거시경제 주무 기관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소비 회복 및 확대 20개 조치’를 통해 유급 휴가제의 전면 시행과 탄력 근무제 장려 방침 밝혀.

-유급 휴가제를 전면적으로 시행하고, 탄력적 근무제를 활성화함으로써 휴가 문화를 확산, 소비를 촉진하고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의도.

-또 관광 인프라를 개선하고, 주요 관광지 입장료 감면, 비수기 무료 개방 등 관광 활성화 정책 시행을 권장하기로 밝혀. 소비 촉진을 위해 신용카드 금리와 상환 기간, 신용 한도를 합리적으로 완화하는 방안도 담겨.

흑해 막힌 우크라, 곡물수출 위해 크로아티아 항만 사용 추진

-러시아의 흑해곡물협정 파기 이후 흑해를 통한 곡물 수출로가 막힌 우크라이나가 크로아티아 항만을 통한 곡물 수출 추진.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고르단 그를리치-라드만 크로아티아 외무장관과 화상 회담 뒤 “다뉴브강과 아드리아해에 있는 크로아티아 항만을 통해 우크라이나 곡물을 수송하는 가능성에 합의했다”며 “이들 항구로 향하는 가장 효율적 경로를 마련하고 이 기회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혀.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7월 튀르키예, 유엔의 중재로 러시아와 전쟁 중에도 흑해를 통해 곡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흑해곡물협정을 체결했지만 러시아는 자국 관련 사항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지난 17일 협정 파기를 선언.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연합인포맥스 스크린에 에코프로 차트가 띄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대기업집단 시총 350조원 증가…에코프로그룹 12조→70조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대기업 집단 중 상장사를 보유한 73개 그룹의 338개 상장사 시총을 분석한 결과 7월 28일 종가 기준 1773조9550억원으로 연초인 1월 2일(1423조7366억원)보다 350조2184억원(24.6%) 증가.

-이차전지 관련주 주가 폭등에 포스코그룹이 6위에서 5위, 에코프로그룹은 15위에서 6위로 각각 올라. 포스코그룹 6개 상장사 합산 시총은 연초 41조9388억원에서 112조4911억원으로 70조여원(168.2%) 증가.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에이치엔을 합친 에코프로그룹 시총은 연초 12조5965억원에서 70조5871억원으로 58조원 가까이(460.4%) 증가.

尹대통령, 국토장관에 “아파트 부실공사 전수조사” 지시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에 “아파트 지하주차장 부실 공사에 대해 전수조사하라”고 지시.

-앞서 지난 4월 인천 검단에서는 신축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국토부가 검단 아파트와 유사한 ‘무량판 구조’를 적용해 지어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발주 아파트 91곳을 전수조사한 결과, 15개 단지에서 필요한 철근이 빠진 것으로 드러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