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LG유플러스 "5G 설계에서 품질관리까지 프로세스 구축"

장영은 기자I 2019.08.04 09:00:00

LG유플러스, 이노와이어리스와 함께 개발..국내 최초 주장
SK텔레콤, LTE 때부터 모바일 품질 측정 앱 사용중 설명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LG유플러스(032640)가 5G 네트워크 설계에서 시공과 실시간 현장 품질점검까지 할 수 있는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업계 최초로 구축했다고 4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직원이 세계 처음으로 개발한 5G 모바일 품질측정앱으로 기지국에서 신호세기,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 등을 측정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시공품질 확보를 위한 안테나 방향각 측정기 ‘마젠타’과 실시간 현장 품질점검이 가능한 5G 모바일 품질측정 애플리케이션(앱)을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며 “상용화를 통해 최고수준의 5G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통상 기지국장비를 시공한 후 5G 품질 확인을 위해서는 노트북에 데이터 케이블로 5G 단말기를 연결하고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해 신호의 세기·품질·속도 등을 측정했는데,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효율적이었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가 국내 업체인 ‘이노와이어리스’와 함께 개발한 5G 모바일 품질측정 앱은 5G 스마트폰에 앱 형태로 설치해 신호세기 측정,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 측정, 실패호 분석 등이 가능하다.

측정 결과는 자체 개발한 품질 분석 시스템(ESS)에서 데이터를 자동 분석해 신호가 불량한 포인트를 찾아 품질 개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기지국 시공을 지원하는 안테나 방향각 측정기 마젠타는 기지국 철탑 주변에서 기존 나침반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만든 방위각 계측장비다. 마젠타는 그동안 10~20도였던 안테나 방향각 오차를 1도 이내로 줄일 수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에이톨(Atoll)’이라는 셀 설계 전문 프로그램과 지역 속성을 고려해 자체 제작한 전파모델을 활용해 전국망 설계를 완성했다.

한편 SK텔레콤도 마젠타(기지국 전파 방사 모양 측정하는 장비), 방위각 측정앱 등 다양한 다양한 종류의 방위각 측정 툴을 기지국 시공시에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관계자는 “LTE초기부터 STI사와 R-ENQA라는 PC가 필요없는 모바일 품질 측정앱을 자체 개발해 LTE부터 5G까지 실시간 최적의 인프라 환경을 구현하고 있다”면서 “20여년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5G 3D 설계 솔루션을 통해 5G 전파 특성을 고려해 정교한 5G 통신망 설계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