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경쟁상대는 美인텔·마이크론…국회가 뒷받침해줘야"

최영지 기자I 2024.06.11 05:45:02

[만났습니다]②이창한 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법안 발의 위한 국회의원 필요…또 도전할 것"
지난해 KGAP 출범…산학연 협력 '생성AI' 플랫폼 구축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경쟁 상대는 서로가 아닙니다. 미국의 인텔·마이크론 등 글로벌 기업이라는 걸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들과의 제대로 된 경쟁을 위한 반도체 정책을 세우려면 정부는 물론 국회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이창한 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 (사진=김태형 기자)
이창한 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6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우리 반도체산업 발전을 위해선 기업뿐 아니라 정부와 국회 등 합심이 전제돼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정계 진출에도 도전했다. 그는 “친분이 있던 양향자 전 의원의 권유가 있었다”며 “반도체 전문가 출신 국회의원이 우리나라에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했다”고 했다. 이 전 부회장은 올해 총선에 앞서 개혁신당 1호 인재로 영입되며 정치 활동을 선언했다. 특히 반도체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법안 발의 등을 구상했다.

그는 현재 정치 환경이 기업 지원 등 국가를 위한 법안을 고민하는 환경이 아니라며 쓴소리를 이어갔다. 이 전 부회장은 “국회의원이 돼서 어떤 정치를 하겠다는 게 아니고 우선 국회의원이 돼야 한다는 분위기가 너무 강한 게 현주소”라며 “특정 이념 등 당론에 부딪혀 민생 경제, 기업 지원 관련 법안 발의가 뒷전인 경우가 적지 않다”고 꼬집었다.

22대 국회에 바라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신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정쟁을 삼가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여야가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을 바라는 건 아니다. 당론이 다르고 사고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다”면서도 “우리나라 정부, 기업이 내부 경쟁을 하는 게 아니고 미국, 중국 등 해외 정부·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했다.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 등의 경쟁 상대는 인텔, 마이크론, 엔비디아, AMD 등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정치 활동에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정치 도전은 언제든 다시 할 수 있다”며 “요즘은 후배들과 생성AI 파운데이션을 출범시켜 미래 AI산업에 대비해 다보스포럼 같은 회의도 구상 중”이라고 했다.

그는 사단법인 한국생성AI파운데이션(KGAF)에서 고문으로 활동하며 ‘국가 산업 기획 및 투자’ 분야에서 기업들에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말 KGAF 출범식을 통해 국내 생성 AI 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정부-산업계-연구소-지자체간 네트워크 구축과 협력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생성AI파운데이션(KGAF)이 지난해 창립총회를 갖고 공식 출범했다. 100여 개 회원사·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창립 총회를 개최한 뒤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KGAF)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