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4 농어촌 참 좋은 학교' 공모전 개최

김윤정 기자I 2024.05.30 06:00:00

7월19일까지…면·도서벽지 학교 신청 가능
지역색 반영한 특색있는 교육과정 등 사례
현장·동영상심사 거쳐 10월11일 최종 선정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교육부는 우수한 농어촌 학교 운영사례를 발굴하고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2024 농어촌 참 좋은 학교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자료 제공=교육부)
참여 대상은 면·도서벽지 지역에 소재한 농어촌 초·중·고교다. 참여를 원하는 학교에서는 오는7월19일까지 중앙농어촌교육지원센터 이메일로 A4 10매 사례보고서를 제출하면 된다. 공모 가능한 주제의 예시로는 △학교·지자체·마을공동체가 함께 농어촌 교육여건을 개선 △지역 실정을 반영한 특색있는 교육과정 운영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워주는 지속가능한 학교 구현 사례 등이 있다.

접수 마감 이후 8월9일 1차 서면심사 발표, 9월6일 현장심사·동영상심사 대상 학교 선정, 10월8일 3차 동영상심사를 거쳐 10월11일 최종 선정 학교를 발표한다. 교육부는 초등학교 8곳, 중학교 5곳, 고등학교 2곳 등 15곳 학교를 선정해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여한다. 민간 사회공헌사업과 연계한 ‘전문 퍼실리테이션 워크숍’ 우선 참여 기회도 제공된다.

교육부는 2020년부터 농어촌 참 좋은 학교 공모전을 진행해오고 있다. 그간 선정된 우수사례로는 ‘담임 책임제 맞춤형 지도 및 전교생 대상 교과교실제 운영 학교’, ‘학부모 참여 및 지역 협력으로 교육여건을 개선한 학교’ 등이 있다. 이들 사례는 농어촌 학교 희망 포럼, 유튜브 채널 ‘농어촌 학교’를 통해 홍보에 활용되고 있다.

농어촌 참 좋은 학교 공모전은 농어촌 소규모 학교가 지역 특성에 맞는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지속 가능한 농어촌 학교를 구현한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천홍 교육부 교육복지돌봄지원국장은 “농어촌 학교의 장점을 극대화한 우수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농어촌 학교 운영 사례가 늘고 있다”며 “농어촌 지역 학교들의 좋은 사례를 적극적으로 찾아 알리고 우수한 학교들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3 농어촌 참 좋은 학교 공모전 선정 사례. (자료 제공=교육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