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글로벌 환경에 발맞춰…정부, 친환경 선박 점유율 12% 목표

권효중 기자I 2024.02.13 06:00:00

[이제는 무탄소 경제 6편]
해수부, 2027년 친환경 선박 점유율 12% 목표
4년간 12배 확대해야…"해수부 안팎에서 다함께 추진해야"
2020년 친환경선박법 이후 보조금 지급…시장확대 대비
연료 공급, 항만 시설 등 복합적 생태계 마련 必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점점 성장하는 친환경 선박 시장에 맞춰 정부는 2027넌까지 시장 점유율 12%를 목표로 삼았다. 2020년부터 꾸준히 친환경 선박에 대해서는 보급 확대를 위한 보조금이 나가고 있지만, 연료 공급과 관련된 인프라, 기술 등으로 ‘친환경 생태계’를 자체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지원대상 친환경 선박 (사진=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1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해수부는 △2027년까지 친환경 선박 내 시장점유율을 12% 확보 △국제 해운 탄소 30% 감축 △원격운항·선원 미승선 등 자율운항선박 기술이라는 3대 목표를 바탕으로 한 ‘첨단 해양모빌리티 지원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해수부는 국제해사기구(IMO)의 2050년까지 ‘국제 해운 분야 탄소중립’이라는 목표에 자율운항 기술 등 첨단 영역을 융합해 해양모빌리티 부문에서 차별화를 이끌어내겠다는 구상이다. IMO의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세계 친환경 선박 시장은 연평균 14%대의 고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선박 수주 영역에서도 액화천연가스(LNG)와 메탄올 등을 연료료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 수주량은 전 세계 발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수요가 높다.

해수부 목표에 따르면, 지난해 1%(규모 5조원) 수준인 국내 해양 모빌리티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12%가 되려면 규모로는 71조원이 돼야 해 녹록치만은 않은 상황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의 성장에 발맞추기 위해 해수부 안팎에서 함께 추진해야 할 목표로서 설정하게 된 것”이라며 “숫자로 보면 높아보이지만, 단순한 선박 건조 지원을 넘어서 인프라 마련, 기술 구축 등이 함께 이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이러한 전략 목표와 별도로 2020년 제정된 친환경선박법을 바탕으로 해마다 친환경 선박에 대한 보조금 등 지원을 해마다 실시하고 있기도 하다. 올해 해수부는 총 2422억원을 투입해 공공 부문의 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교체하고, 민간 선박에 대해서는 최대 30%까지 건조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다만 단순한 선박 공급만이 아닌, 연료 공급망을 구축하고 고부가가치의 기술 등을 개발하는 것은 친환경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바이오매스,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하는 시설은 물론, 항만 등에서도 친환경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벙커링 등 인프라도 부족하다. 정부는 지난해 울산항을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항만으로 신규 지정하고, 권역별로 항만 인프라를 갖추게 해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선박은 물론, 연료 시장과 인프라 등 선박 운영을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산업 기반을 육성하는 것은 향후 시장 확대는 물론, 전반적인 친환경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과제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선박 보급과 더불어 올해는 친환경 인증 대상을 기자재까지 확대하고, 환경 영향평가 모델 등도 새로 개발할 예정”이라며 “업계와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탈탄소라는 글로벌 목표를 향해 협력해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