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 현대차 노조 ‘광주형 일자리’ 왜 반대하나

논설 위원I 2018.06.21 06:00:00
광주광역시와 현대자동차가 추진하는 자동차 위탁조립공장 설립에 빨간불이 켜졌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그제 열려던 합작공장 건설투자 협약식을 무기한 연기했다. ‘광주형 일자리’의 첫 결실이라는 상징성으로 문재인 대통령까지 참석하기로 했던 행사가 돌연 취소되는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러다간 공장 설립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올 만하다.

겉으로는 광주시와 현대차가 일부 투자협약 사안에 합의를 보지 못해 미뤄진 것으로 알려진다. 합작법인 이사회 구성, 경영책임, 위탁생산 차종과 가격 등에서 아직 이견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현대차 노조의 극력 반대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노조 반대가 워낙 드센 탓에 현대차가 선뜻 투자협약 실행에 주춤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 노조는 “협약서에 서명하면 사측을 형사 고발하겠다”는 강경 입장이다. 제대로 된 수익성 검토도 없이 수백억원을 투자하는 것은 업무상 배임죄에 해당하는 데다 단체협약 위반이라는 이유에서다. 진짜 이유는 광주공장 임금수준이 현대차 평균임금의 절반도 안 된다는 데 있다. 향후 울산공장 생산물량이 줄어들면서 임금 삭감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작용했을 법하다. 귀족 노조가 제 밥그릇 챙기겠다고 생떼를 쓰고 있다는 얘기다.

‘광주형 일자리’의 핵심은 연 10만대 생산규모의 공장을 세워 연봉 4000만원 일자리 1만 2000개를 만드는 것이다. 지자체는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기업에는 고비용·저효율 구조를 해결할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조업 전반으로 확대되면 고용 악화가 깊어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노·사·민·정 대타협이 그 기본이다.

현대차 노조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서 보듯 국내 자동차 산업은 위기에 처해 있다. 현대차만 해도 중국, 미국에서 판매량이 급감하는 등 고전하는 중이다. 하반기에는 미국의 수입차 관세부과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어 위기감이 더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득권을 고집하며 저비용·고효율 공장 설립을 반대하는 것은 옳지 않다. 상생의 지혜를 발휘하기 바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