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갭투자 막을 적기 놓친 탓…대전 집값, 뒷북대책에 `쇼크`

박진환 기자I 2020.07.30 02:21:00

2018년 10월 3.3㎡당 평균 729만원서 올3월 971만원↑
외지인 주택매입비율 35.6%까지치솟아 가격급등 견인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전 주택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세종시가 출범한 2012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던 대전 부동산시장은 2018년 하반기부터 크게 요동치기 시작했다. 2018년 7월 대전도시공사가 분양한 갑천 3블록 공공아파트분양에 평균 청약경쟁률이 360대 1을 기록하면서 부동산 규제가 약했던 지역 부동산시장이 전국적 관심지역으로 분류됐기 때문.

이 시기에 맞춰 전국 광역시 중 아파트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는 인식이 커진 대전 주택시장에 외지로부터 갭투자 세력이 들어오면서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은 본격화했다. 2018년 10월까지만 해도 대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729만원으로 광역시 중 광주 다음으로 낮았지만, 같은 해 11월부터 상승세가 이어지며 올 3월에는 3.3㎡당 971만원으로 부산보다 높은 평균 매매가격을 기록했다.

대전시 서구 둔산동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한국감정원이 공개한 아파트 매입자 거주지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4월 외지인의 대전지역 아파트 매입량은 355가구로 전체 거래의 22.1%를 기록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같은해 10월 847가구(30.9%)로 외지인들의 아파트 매입 비율이 크게 상승했다. 외지인들의 대전지역 주택 매수는 서구와 유성구 등 신도심을 중심으로 전체 매입 가구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대전시민들도 1986가구를 매입하면서 2018년에 거래량이 폭증했다. 같은 해 12월 아파트 거래량이 줄었지만 외지인은 685가구를 매입해 35.6%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당시 대전 서구와 유성구를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은 대전지역 전체 아파트값 상승을 견인했다. 2018년 8월 이후 갭투자의 대상인 대전 서구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19.17%, 유성구 18.93%로 대전 아파트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이후 정부가 2018년에 발표한 9·13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11·6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지정, 12·6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등의 대책이 잇따라 발표됐지만 대전은 규제대상에서 빠졌다. 당시 부동산 전문가들은 갭투자 중심의 외부인의 매수로 인해 아파트 시장의 교란을 우려했다.

지난해 4월 대전 도안신도시에 분양한 대전아이파크시티는 3.3㎡당 1500만원(기준층)대 고분양가 논란이 있었지만 높은 경쟁률로 1순위 청약을 마감하면서 가격 상승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계기가 됐다.

같은 해 11월까지 6.39% 상승을 기록했지만 정부의 12·19 부동산 대책에서도 대전은 규제지역에서 벗어났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가격은 -2.13% 떨어졌고, 서울 등 수도권도 보합세를 유지했다. 반면 대전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7.82%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해 12월 아파트 시장의 비수기인 겨울에도 불구하고 외지인의 아파트 매입 건수는 900가구로 부동산 규제에서 벗어났던 원인이 지속적 가격 상승을 유도했다.

이 같은 상승세는 올해에도 이어졌다. 지난 5월까지 아파트 가격은 6.24% 올라 지난해 1년간 상승률에 육박하는 수치를 보였다. 외지인들의 갭투자와 함께 대전시민들도 아파트 구입 대열에 동참했기 때문. 결국 외부 갭투자가 들어오기 시작한 2018년 상반기부터 올해 5월까지 전국은 0.86%, 수도권은 4~5%대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대전 아파트 가격은 16.11%로 큰 폭으로 올랐다.

정재호 목원대 금융보험부동산학과 교수는 “최근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대전이 강력한 규제지역에 포함됐지만 다소 늦었다”면서 “이번 대책으로 대전 부동산시장은 큰 충격을 받을 것으로 보이지만 규제에 해당되지 않는 충남 천안과 아산, 내포신도시 등 일부지역으로의 풍선효과와 기존 규제지역이었던 세종시 부동산시장은 상승할 여지가 크다”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