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도료업계, 건설경기 침체 속 재도장 시장서 성장기회 마련

노희준 기자I 2024.06.24 06:05:00

올해 4월까지 전국 아파트 재도장 공사 공고 40%↑
콘트리트 중성화로 균열 발생...수분 만나면 철근 팽창
평균 5~10년 주기, 연평균 10%씩 성장해 1000억 시장
KCC·노루·삼화, 시뮬레이션 서비스에 전문페인트 경쟁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아파트 재건축 시장이 불황을 거듭하는 가운데 외벽 등을 새로 칠하는 재도장 시장이 각광을 받고 있다. 건축용 도료 시장이 침체한 상황에서 신규 수요처를 잡기 위한 도료업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23일 국토교통부의 공통주택관리정보시스템 및 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월 전국 아파트에서 낸 재도장 공사 공고 건수는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건축자재 가격·금리·인건비 인상으로 재건축·재개발 부담이 늘자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재도장 관심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3월 공사에 투입되는 재료와 노무, 장비 등 공사비 가격 변동을 나타낸 ‘건설공사비지수’는 154.85로 역대 최고치로 치솟아 2019년 3월보다 33.4%나 올랐다.

(그래픽= 김일환 기자)
아파트 재도장은 콘트리트 표면에 페인트를 다시 입히는 일이다. 외관을 개선하는 효과 외에도 콘크리트 표면의 물과 공기 접촉을 차단해 건물 수면을 연장한다.

콘크리트로 된 아파트는 내구성이 높지만 시간이 지나면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다. 빗물과 기후에 따른 외부 대기환경으로 본래 강알칼리성인 콘크리트가 중성화 되는 탓이다. 균열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면 철근에 녹이 슬고 녹슨 철근이 팽창해 갈라짐이 발생하면서 부분 붕괴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특히 재도장은 아파트 외벽 도장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실내, 주차장, 옥상방수, 바닥시공 등이 모두 포함된다. 아파트 재도장은 일반적으로 5~10년 주기로 진행한다. 시장규모는 3년간 평균 10~15% 상승해 지난해 기준 1000억원 수준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삼화페인트가 디자인 제공한 아파트 재도장 사례 (사진=삼화페인트)
삼화페인트(000390)공업은 ‘재도장 토탈 솔루션’ 서비스를 하고 있다. 재도장 핵심이 주민이 살고 싶은 아파트 디자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고 보고 단지 사진에 디자인을 입힌 색상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이 회사는 지난해 기준 3500여건의 재도장 컬러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재도장에 주로 사용되는 삼화페인트 건축용 제품은 수성 페인트인 ‘아이생각’ 및 ‘아이럭스’ 시리즈다. 아이가 있는 곳에도 사용할 수 있는 페인트로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공동주택 내구성 향상 페인트 ‘아이럭스 슈퍼케어’는 노후화를 방지하고 수명을 높이는 고기능성 페인트다.

KCC가 재도장한 판교원마을11단지 (사진=KCC)
KCC(002380)는 색채 설계부터 시공 방법까지 한번에 해결하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전문팀이 사전조사부터 사후관리까지 전담해 현장 특성에 맞는 색채를 설계해 가장 적합한 시공방법을 선정한다. 이후 시공 공정별 전문가가 감리도 진행한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 래미안퍼스티지 아파트와 판교원마을 11단지 힐스테이트 등이 KCC의 대표적인 재도장 사례다.

KCC관계자는 “4월 누계 기준 KCC에서 진행하는 재도장 프로젝트는 15%, 색채디자인 건수는 24% 증가했다”고 말했다. KCC 아파트 재도장 전용 도료로는 ‘숲으로듀러블’이 있다. 제품은 RS인증(한국 신뢰성 인증센터)을 취득해 최소 9년까지 색상을 유지·보존할 수 있는 데다 다양한 기후와 기상에 견디는 내후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평이다.

노루페인트(090350)도 디자인부터 도색까지 모든 과정에 ‘원스톱 재도장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컨설팅 프로그램 중 ‘색채 시뮬레이션’은 원하는 색상과 디자인을 그래픽 시뮬레이션으로 먼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노루페인트는 지역별, 단지별 아파트의 최신 DB를 용한 그래픽 시뮬레이션으로 현장에 맞는 디자인과 컬러를 제안한다

노루페인트는 대표적인 재도장 페인트로 수성 외부용 페인트 ‘큐피트마스터’를 추천했다. 이 제품은 외벽 미세 갈라짐을 보완해 철근 골조를 보호하는 탄성과 초기 외관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높은 내후성을 비롯해 도막과 콘크리트 내부로 수분 침투를 막아주는 발수성 등 주요 기능을 모두 갖췄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