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옛 사람들의 식문화는 어땠을까…6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이윤정 기자I 2024.06.06 07:30:00

'로마의 연회문화' '도자기의 빛깔' 등 주제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은 6월에도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오후 6시~9시)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6월 첫 주는 다양한 주제로 시작한다. 고려Ⅰ실에서 ‘고려시대 사람들의 밥심’, 고대 그리스·로마실의 ‘로마의 연회문화’를 통해 옛사람들의 식문화와 생활상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부여·삼한실의 ‘동물 모양 허리띠 고리’에서는 삼한시대의 호랑이, 말 모양의 띠고리 장식을 살펴볼 수 있다. 분청사기·백자실의 ‘도자기의 빛깔’에서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 제작 이야기를 만나 본다.

밥을 담기 위한 청동 그릇(사진=국립중앙박물관).
둘째 주에는 상설전시관 1층 역사의 길 중앙에 있는 ‘경천사 십층석탑’ 이야기를 준비했다. 신라실에서는 ‘신라 금관의 제작기술’을 통해 아름다운 신라 금관이 어떻게 제작됐는지 알려준다. 또한 목칠공예실에서 진행되는 ‘나무에 스민 지혜-조선 목가구’에서 간결하고 절제된 조선 목가구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어린이박물관 쑥쑥배움터에서는 ‘어린이박물관 교육상자-평생도’가 진행된다. 디지털 평생도 병풍, 그림 속 의복 상자, 그림 속 물건 상자 등 교구를 통해 조선시대 평생도를 알아보고 체험해 볼 수 있다.

셋째 주에는 기획전시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에서 미국 덴버박물관 소장 북미 원주민의 회화와 공예, 복식 등을 통해 그들의 삶과 예술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청동기·고조선실의 ‘청동기시대의 상징, 검’, 분청사기·백자실의 ‘절제의 미덕, 계영배’, 신라실의 ‘유리로 보는 신라’ 등 다양한 주제로 큐레이터와의 대화가 열린다.

마지막 주에는 구석기실의 ‘구석기의 삶과 문화’에서 우리의 가장 먼 옛날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다. 신석기실의 ‘토기제작과 사회변화’와 분청사기·백자실의 ‘달항아리가 만들어진 곳, 금사리’에서는 토기와 백자 항아리 제작 이야기를 알려준다. 불교회화실의 ‘불화를 읽는 시간’에서는 어렵고 복잡해 보이는 불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법을 들을 수 있다.

경천사 십층석탑(사진=국립중앙박물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