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중국보다 미국"…성수기 앞두고 선케어株 고공행진

김소연 기자I 2024.06.13 05:40:00

선진뷰티사이언스 한 달 새 80% 올라
잉글우드랩 64%·코스메카코리아 52% 상승
"미국향 화장품 기업 주목할 필요"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한국 화장품 수출 1위 국가가 중국에서 미국으로 변경된 가운데 미국 시장에 진출한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선케어·선크림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관련 종목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무더운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선케어·선크림 종목 주가가 무서운 기세로 오르고 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1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화장품 소재 기업인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의 주가는 최근 한 달 사이 80.14%나 올랐다. 지난달13일만 해도 9970원이던 주가는 이날 1만 7960원까지 점프했다. 같은 기간 미국 내 화장품 제조업체인 잉글우드랩(950140)은 64.06% 올랐다. 이어 코스메카코리아(241710)가 52.04% 상승했으며, 한국콜마(161890)도 22.18% 오르며 두 자리 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날 코스맥스(192820)는 9%대, 한국콜마는 8%대 줄줄이 강세를 보였다.

화장품 업종 중에도 미국 시장에 진출해 이익을 내는 종목으로 기대감이 쏠리고 있다. 지난 10일 공개된 6월 화장품 수출 데이터(잠정치)를 보면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 내린 2억 1101만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미국이 전년 대비 56.6% 늘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21.9%, 중국이 19.6%로 비중이 뒤바뀌었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화장품 수출데이터를 보면 한국 화장품 수출국 중 미국과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역전됐다”며 “미국이 중국을 넘어서 한국 화장품 수출 1위 국가가 된 점은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화장품 산업에서 한국 화장품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여전히 낮아 피크아웃(정점을 찍고 하락하는 현상)을 논하기 이르고 미국향 화장품 기업을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화장품 소재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선크림 시장이 성장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미국에서 7월 시행될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에서도 자유롭다는 평가다. 해당 법에 따라 화장품 제조시설과 원료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가 필요한데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인증받은 선케어 원료를 생산하고 있다. 미국 시장 내 구조적 성장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주가는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잉글우드랩은 미국 내에서 화장품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다. 잉글우드랩 미국 법인의 선케어 매출 비중이 지난해 40%에서 올해 1분기 43%까지 늘어났다. 코스메카코리아는 계열사 잉글우드랩을 통해 미국향 선케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코스맥스는 미국법인 뉴저지 공장에서 선케어 제품을 생산하고 있고, 한국콜마는 미국 FDA 인증을 받고 미국 선케어 시장에 진출했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화장품 산업의 성장 모멘텀으로 자리했던 중국이 소비 부진을 겪으며 새로운 대안인 미국이 떠오르고 있다”며 “시장 규모 1위인 미국은 가장 주목해야 하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