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외부견 NO’…“반려견 인식표, 우리 단지도 하자” 곳곳 확산

박지애 기자I 2024.06.09 09:21:20

개포자이 '반려견 인식표' 일파만파
'외부견 출입금지' 하던 헬리오시티 등
조경 관리 잘 된 단지들 '인식표 도입' 갑론을박
"외부인들은 배변 등 펫티켓 안지켜 문제"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반려견 인식표’를 판매해 사실상 외부견 출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한 것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단지 내 붙어 있는 팻말(사진=박지애 기자)
이미 수년 전부터 일부 아파트 단지들에선 ‘외부견 출입금지’ 팻말을 내건 경우가 있었는데, ‘우리 단지도 인식표를 활용해 제대로 외부견 출입을 막자’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과 수도권 곳곳의 대규모 단지 아파트 주민들 사이에선 ‘반려견 인식표를 도입’ 여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한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잘 가꿔진 조경이 경쟁력의 한 요소로 자리매김한 만큼 쾌적한 산책로가 포함된 경우가 많다. 이렇다 보니 단지 내 주민이 아닌 외부인들이 단지 산책을 하는 경우가 빈번한 분위기다. 문제는 외부인이 반려견을 동반해 산책할 경우 일부가 배변 처리나 목줄 등 ‘펫티켓’을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번 ‘반려견 인식표’ 판매가 있기 전부터 이미 수년 전부터 서울과 수도권 대형 아파트 단지 곳곳에선 ‘외부견 출입금지’ 팻말을 내건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외부인들의 경우 단지내 산책로 관리에 대한 책임감이 아무래도 덜하기 때문에 배변 치우기 등에 있어서 내부 주민들에 비해 펫티켓을 덜 지키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취해진 조치다.

다만 이젠 단순히 출입금지 팻말을 내거는 것을 넘어 실질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인식표’까지 달지 말지를 두고 논란이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최대 규모 대단지(9510가구)인 서울 송파의 헬리오시티의 경우 2018년 말 입주를 시작했는데 1년여 후부터 ‘외부견 출입금지’를 원칙으로 단지를 관리하고 있다. 헬리오시티의 한 주민은 “일부 주민들이 단지를 조성하면서 기부채납으로 조성된 공원에도 외부견이 오는걸 싫어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이건 우리가 막을 길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헬리오시티 외에도 이촌동의 래미안챌리투수는 460여 가구로 상대적으로 대단지는 아님에도 잘 관리된 조경으로 외부인의 출입이 잦아지면서 ‘외부견 출입금지’를 내걸고 있다.

또 마포구의 대다수 아파트 단지들도 외부견 출입을 막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권의 조경이 잘 관리되는 단지들의 많은 곳들도 외부견이 들어오는 것을 꺼리거나 막고 있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

서울 서대문구의 한 대단지 주민 소통방에서 ‘반려견 인식표’ 여부를 두고 오간 의견들 모습(사진=제보자)
외부견 출입을 금지하지 않았던 기존 단지들까지도 이번 ‘반려견 인식표’ 논란 이후 우리도 외부견 출입을 막자는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은 배변과 연관된 청결의식 부재가 도입이유다.

서울 서대문의 한 아파트 단지 관리인은 “외부견 출입 여부는 주민들이 이용하는 커뮤니티 앱에서도 꽤 오래된 논쟁인데, 이번에 개포동의 반려견 인식표 이야기가 나오면서 우리도 도입하자 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시작됐다”며 “아무래도 벽을 쌓다 보면 서로 불편한 점이 많지만, 그럼에도 기본적인 매너를 안 지키다 보니 이렇게까지 각박해지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