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음 바뀐 외국인…2차전지株 모으기 돌입

김응태 기자I 2024.06.14 05:30:00

외국인 6월 에코프로 513억 순매수…전월비 220억↑
포스코퓨처엠·홀딩스 등은 순매수 전환
미국 등 중국산 관세폭탄에 국내 반사이익 기대
美 대선 트럼프 재선 시 주가 추세 회복 걸림돌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지난달 2차전지 관련 종목에 ‘팔자’로 대응하거나 매수 규모를 줄여왔던 외국인이 이달 들어 2차전지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는 지속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율을 높이겠다는 움직임을 보이자 한국 기업의 반사이익을 기대하며 저가 매수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증권가에서는 미국과 유럽의 관세 부과 정책에 중국과 경쟁해온 국내 기업들의 신규 수주가 늘어날 수 있다고 보면서도 하반기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전기차 전환 정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이 경우 자칫 전기차 수요 회복과 2차전지 기업들의 주가 회복도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어서다.

서울의 한 전기차 주차장에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에코프로 담는 외국인…포스코도 순매수 전환

1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달 들어 외국인은 양극재 제조사 포스코퓨처엠(003670)을 82억원 순매수했다. 지난달 407억원 순매도한 것과는 상반된 양상이다. 포스코그룹 지주사인 POSCO홀딩스(005490)에 대해서도 외국인은 지난달 375억원 규모 순매도했지만 이달에는 267억원어치를 담았다.

외국인은 지난달 293억원어치를 사들였던 2차전지 대장주 에코프로(086520)를 이달에는 513억원 순매수했다. 순매수 규모가 약 200억원 늘어나며 비중을 확대했다.

외국인이 6월 들어 2차전지주를 적극 매수하고 있는 것은 미국과 유럽 등이 중국산 전기차를 대상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전기차 수요 둔화가 이어지고 있고 업황 회복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의 중국 견제로 국내 2차전지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기대가 외국인의 투심을 움직였다는 판단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오는 8월1일부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세율을 25%에서 100%로 인상하기로 했다. 또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전기차용 이외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해서는 오는 2026년부터 25% 수준의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유럽연합(EU)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조사를 마무리하고 오는 7월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꺼냈다. 파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EU 위원회는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10%에 최대 38% 추가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 로이터통신은 지난 8일(현지시간) 튀르키예가 중국산 수입 차량에 4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中 전기차 관세부과, 반사이익 호재”…美 대선은 변수

증권사에서도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 수출 규모가 줄어들 수 있어 국내 기업들의 미국과 유럽 시장 수주가 유리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진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ESS의 미국 내 중국 관세율 2026년 25%까지 확대 발표로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대거 진행되고 있다”며 “관련 수주가 대폭 확대 중”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외국인의 이 같은 움직임에도 일각에서는 여전히 2차전지 업황에 대한 우려가 꾸준하다. 미국과 유럽의 관세 부과 조치에 따른 반사이익이 있을 수 있지만 업황이 제대로 회복하지 않는 한 실적 개선과 추세적인 주가 회복세가 이어지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오는 11월로 예정된 미국 대선이 큰 변수로 손꼽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전기차 전환 정책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재선에 성공할 경우 전기차 보조금 지급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인플레감축법(IRA)을 폐기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용욱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는 당선 시 IRA 법안 백지화를 언급했다”며 “내연기관차 규제 완화 및 정책 무효화 시도를 통해 전기차 전환 속도를 둔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