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LS배상금 리스크'국내은행, 1분기 순익 24% 급감한 5.3조

송주오 기자I 2024.05.17 06:00:00

ROE, 3.26%p 하락한 7.79%
"손실흡수능력 확충 지속 유도할 것"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24% 급감했다. 홍콩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자료=금융감독원)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5조3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조7000억원(24.1%) 감소했다. 이자이익은 이자수익자산 확대 등에 따라 2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평가이익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아 4000억원 감소했다. 특히 영업외손익의 변동이 컸다. ELS 배상금 1조8000억원 등의 영향으로 2조7000억원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자이익은 1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자수익자산은 증가했지만 순이자마진(NIM) 축소에 따라 이자아익 증가폭이 둔화됐다. 비이자이익은 유가증권 평가이익 감소 등의 영향으로 1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6조4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000억원(2.7%) 증가했다. 인건비는 1000억원 늘었고, 물건비는 지난해와 비교해 400억원 증가했다.

대손비용은 감소했다. 올해 1분기 대손비용은 전년동기대비 6000억원 감소한 1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경기 불확실성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확대한 기저효과 및 올해 1분기 한화오션 관련 충당금 환입(4000억원) 등에 따른 효과로 분석됐다

국내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7%로 지난해와 비교해 0.22%포인트 하락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3.26%포인트 떨어진 7.79%를 기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견조한 이자이익 수준이 지속되고 있으나, ELS 배상금이 순이익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예상치 못한 위험 발생시에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대손충당금의 충분한 적립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