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현대사 최대 비극 4.3 추념식 참석…盧 이어 공식 사과할 듯

김성곤 기자I 2018.04.03 06:00:00

3일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 참석…현직 대통령 12년만에 참석
지난해 12월 종교계 지도자 오찬서 “4.3 70주년 추도식 참석” 약속
4.3사건에 대한 국가 책임 인정하고 공식 사과할지 주목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3일 한국 현대사의 최대 비극인 제주 4.3 사건의 희생자들을 추모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슬픔에서 기억으로, 기억에서 내일로’ 주제로 제주4.3평화공원 일원에서 행정안전부 주최·제주특별자치도 주관으로 열리는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유족들을 위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이 과거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4.3 사건에 대한 국가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에 나설지 주목된다. 제주 4.3 사건은 해방 이후 남한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 이후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당시 제주 인구의 10분에 1에 해당하는 3만여명이 희생당한 한국현대사의 최대 비극이다. 특히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발생한 소요사태를 거쳐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했다.

현직 대통령의 4.3 관련 행사 참석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참석 이후 약 12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취임 이후 4.3사건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드러냈다. 특히 지난해 12월 종교계 지도자 청와대 초청 오찬에서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인 김희중 대주교가 내년도 4.3항쟁 70주년 기념식 참석을 요청하자 즉석에서 수락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내년 4.3 70주년 추도식에 참석하겠다”며 “해마다 못가더라도 올해 광주 5.18추도식에 갔듯 내년에는 제주에 가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4.3 사건의 진상규명과 희생자에 대한 명예회복은 주로 진보정권에서 이뤄졌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에 희생자들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요청으로 2000년 1월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을위한특별법’이 제정됐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3년 노 전 대통령은 정부의 4.3 진상보고서 결과를 토대로 국가권력에 의한 대규모 희생이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했다.

노 전 대통령은 특히 지난 2006년 4월 3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4.3위령제에 참석, “국가권력은 어떠한 경우에도 합법적으로 행사되어야 하고, 일탈에 대한 책임은 특별히 무겁게 다뤄져야 한다”며 “화해와 용서를 말하기 전에 억울하게 고통받은 분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명예를 회복시켜주어야 한다. 이것이 국가가 해야 할 최소한의 도리이자 의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