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17년은 드론 도약기..지자체마다 경쟁적 드론육성

채상우 기자I 2017.01.16 05:00:00

각 지자체별 드론 육성 계획 발표

[이데일리 채상우 기자]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정유년(丁酉年) 새해를 맞아 드론 산업 육성을 위한 신사업 개발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드론 산업을 활용해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드론산업 육성에 가장 적극적인 지자체로는 인천시가 꼽힌다. 인천시는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드론 국제표준안을 준비하고 있다. 또 항공기 조종사 수준의 드론 운전면허증 제도 도입도 추진한다. 물류 중심도시의 강점을 살려 드론을 물류 산업의 한 축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인천시는 이를 위해 청라국제도시에 ‘드론 시험·인증센터’ 설립을 계획했다. 이 센터는 드론 분야 표준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드론을 기준하는 표준안이 없는 실정이다. 뭉뚱그려 무인기(UAV)로 규정하고 있지만 드론 산업이 성장할 수록 무인기와 다른 별도의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해외의 경우 미국과 중국은 이미 표준안 마련에 들어갔다. 인천시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고 표준안 마련에 손을 놓아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국토부 산하 항공안전기술원과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센터는 빠르면 올해 초 착공에 들어간다.

부산시는 해양도시의 특징을 살려 해양안전·항만감시에 특화된 드론 산업을 육성한다. 아울러 부산시는 드론 분야를 신성장 산업으로 지정하고 올해부터 4년간 200억 원을 들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실증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은 대한항공 데크센터와 대학의 항공우주공학과 등 무인기 제조 기반과 우수 인력은 물론 드론을 날릴 수 있는 충분한 해안도 갖추고 있어 관련 산업 육성에 유리한 고지에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드론 비행장 유치에 팔을 걷어 부쳤다. 드론 비행장 유치전에 뛰어든 건 강원도 영월, 전주, 고흥, 부산 등이지만 이중 가장 적극적인 건 대구시다.

대구시는 정부로부터 드론 비행장 허가를 받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드론 시범사업 지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범사업 지구 완공은 올 초 완료될 예정이며 일반 민간기업 9곳과 한국감정원 한국항공대 등 13곳이 참여할 계획이다.

2019년 8월까지 ‘장애물 회피 및 소형 무인기 조종 장치’를 개발한다. 사업 규모는 국비 80억원, 민자 27억원 등 107억원이다. 항공기용 3차원 지도(DMM) 기술을 활용한다.

각 지자체별 드론 육성 계획. 자료=각 지자체
경기도권에서도 드론 산업 육성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수원시는 삼성전자(005930) 등 글로벌 IT기업과 수원시 내 우수 대학과 협력해 드론산업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이를 위해 올해 180억원을 투자해 수원 첨단벤처밸리2 지역 지식 산업센터 6층에 드론산업 기업체를 입주하고 지원시설도 투자한다. 35억원을 들여 ‘드론 실외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고 2019년부터는 9.7km 규모의 장거리 옥외 테스트 베드도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고양시는 드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난해 고양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에 드론 인력 양성소를 수도권 최초로 개소했다. 고양시는 향후 드론 기술 이전지원, 드론 엑스포 개최 등 드론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구상하고 있다.

용인시는 올해부터 2019년까지 드론 비행장을 조성한다. 용인시에는 국내 최초 비행장인 ‘DJI 아레나’가 들어와 있다. 이를 기반으로 세계적인 드론 비행장을 용인시 명물로 키우겠다는 게 용인시의 계획이다. 용인시는 비행 전용 공역을 추진하고 드론 비행교육원과 아카데미 등을 3개년 플랜으로 가동한다.



▶ 관련기사 ◀
☞삼성 등 대기업 글로벌 경영 올스톱
☞[트럼프 시대]③잠잠해진 한미FTA 재협상론..업계 "트럼프 불안 여전"
☞경제야 어찌되든…'본말전도' 특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