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北인권단체 “중국 구금시설에 탈북자 최대 2천명...시설 확장”

김혜선 기자I 2023.06.14 06:15:58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중국에 위치한 탈북자들의 구금 시설이 확장되고 있다는 위성 사진을 북한 인권단체가 공개했다. 이 시설에는 탈북자 최대 2000명이 수용돼 있다는 게 이 인권단체의 주장이다.

13일(현지시간) 송한나 북한인권정보센터 국제협력 디렉터가 미국 의회 행정부 중국위원회(CECC)가 개최한 청문회에서 중국에 위치한 탈북자 구금시설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CECC 유튜브 캡처)
13일(현지시간) 송한나 북한인권정보센터 국제협력 디렉터는 미국 ‘의회·행정부 중국위원회’(CECC)가 미 의회에서 개최한 청문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국 구금 시설에 있는 탈북자만 최소 600명에서 2000명으로 추정된다.

송 디렉터는 “코로나19가 시작 이후에 탈북자들이 체포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는데 이는 현재 체포된 사람들을 석방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이는 구금된 사람의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직 중국 관료, 전 억류자 등과의 인터뷰 및 현장 조사를 통해 북한 국경에 있는 6개의 주요 중국 공안변방부대(PSBDC) 구금 시설의 위치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날 북한인권정보센터가 공개한 중국 구금시설은 중국 허룽시에 위치해있다. 북한 무산군에 인접한 지역이기도 하다. 송 디렉터는 “위성 이미지를 보면 감시탑을 둘러싸고 새 펜스와 추가 시설 건설이 시작된 것이 드러난다”며 “2021년 여름에는 기존 메인 건물의 수리와 함께 새 건물이 들어선 것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중국과 북한의 국경이 봉쇄됐지만, 국경을 다시 개방하면 대규모의 탈북자들이 북한으로 추방될 것이라고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지적했다. 송 디렉터는 “생존자들은 구타, 전기 충격, 성폭행 등 송환됐을 때 당한 고문에 대해서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며 “송환된 개인은 종종 강제노동에 시달리며 적절한 보수나 기본권 없이 혹독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강요받는다”고 덧붙였다.

또 센터는 중국이 탈북자 단속에 안면인식 등 기술을 이용하면서 지난 3년간 탈북 브로커 비용이 크게 늘었다고 전했다. 센터에 따르면, 브로커 비용은 코로나19 전에는 1인당 2000만원이었지만 올해 초 5000만원으로 늘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