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의 '독한' 가을전쟁

조진영 기자I 2017.08.22 05:20:31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8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신태현 기자]
[이데일리 조진영 기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마이웨이가 연일 민주당을 달구고 있다. 추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정당발전위원회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 룰을 바꿀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내 최대계파인 친문(친문재인) 의원들은 당대표 탄핵까지 언급하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추 대표는 연일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당내 의원들의 반발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핵심 논란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문제다. 현재 민주당 공천 룰은 지난 2015년 당시 김상곤 혁신위원장이 주도해 만들어졌다. 광역단체장 공천권은 중앙당이 갖되 지방자치단체장을 비롯한 광역·기초 의원 공천권은 시도당이 행사도록 정했다. ‘김상곤 혁신안’에는 국민참여경선 진행 과정에서 권리당원 50%이하, 일반유권자 50%이상이 참여하는 내용이 담겨져있다.

친문 의원들은 추 대표가 공천권을 중앙당으로 회수하고 당원비율을 조정하려는 것 아니냐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당헌에는 선거 1년 전에 공천 규정을 확정해야하는데 지방선거를 1년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경선룰을 건드리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지적이다. 추 대표가 정발위원장으로 측근인 최재성 전 의원을 임명한데 대해서도 끊임없이 말이 나오고 있다.

추 대표는 해명에 나섰다. 그러나 굽힐 뜻은 없음을 분명히했다. 그는 “중앙당의 패권을 개선하기 위해 김상곤 혁신안을 만들었지만 결과적으로 패권을 시도당에 옮겨놓은 꼴”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도당 위원장들이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을 평가한 뒤 사퇴하고 출마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며 “공천권을 중앙당으로 회수하자는 것이 아니라 시도당에 견제장치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선거를 1년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공천 규정을 건드린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작년 총선 때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혁신안의 취지와 달리 전략공천을 하지 않았냐”며 “규정상 지난 6월까지 지방선거 룰을 만들었어야 하지만 (새 정부 출범 초기라) 논의할 여건이 못됐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추 대표의 소통 능력과 업무 추진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한 친문 초선의원은 “당을 새롭게 만들자는데는 동의하지만 지방선거 문제를 꼭 끼워서 할 필요가 있느냐”면서 “추 대표 스스로 오해를 자초하는 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시스템 정당을 만들자고 하지만 혁신 방안에 대해 토론이 생략됐다”며 “당원중심정당, 책임당원제 강화라는 목표를 지정해놓고 달려가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정발위에 대한 추 대표의 의지가 강하지만 결국 절충점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당내 한 중진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당 지지율을 훨씬 앞서는 상황에서 정부가 정책을 밀어붙일 때 추 대표가 발목을 잡는 형국이 돼서는 안된다”며 “이 경우 문 대통령 지지자들이 추 대표에게서 돌아설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추 대표 측근들이 절충안을 제안하지 않겠냐는 분석이다.

공천 규정을 바꾸기 위해서는 당헌을 건드려야하는 점도 추 대표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당헌을 개정하기 위해서는 전국대의원대회나 중앙위원회를 열어야한다. 친문 의원들이 정발위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추 대표가 의결정족수인 과반 확보에 나설 경우 대표직 재신임 문제로 불거질 여지가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