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떡볶이값 아껴 호텔가요" 날 위한 소비에 자영업 위기①[소비양극화]

최정희 기자I 2024.06.11 05:00:00

소비 구조가 달라졌다
회식 없는 삶…날 위해 쓴다, 여가·해외여행·명품 소비
'싸거나 고급지거나'…어중간한 곳에 돈 안 쓴다
달라진 소비 구조에 외식 자영업자 피해 가장 커

지난 달 23일 오후 서울시내 한 음식점.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최정희 하상렬 기자] 30대 직장인 오 씨는 주말에 친구와 신라호텔 망고빙수를 먹으러 갔다가 깜짝 놀랐다.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망고빙수를 먹기 위해 꽤 긴 시간 기다려야 했기 때문이다. 망고빙수는 올해 10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4000원 올랐다. 5년 전에 비해선 두 배 올랐을 정도로 비싸다. 그래도 인기가 식지 않았다. 인터넷에는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아예 호텔에 투숙하거나 음식을 예약하는 사례까지 공유되고 있다.

소비 구조가 싹 다 바뀌었다. 직장인들은 저녁 회식이 사라진 자리를 ‘날 위한 소비’로 채우고 있다. 새벽까지 먹고 마시면서 사람들을 만나는 데 돈을 썼다면 이젠 운동, 취미 등 본인의 여가 활동에 돈을 쓰고 있다. 명품, 해외여행으로 목돈을 한꺼번에 쓰는 행태도 나타난다. 먹는 것도 마찬가지다. 평소엔 패스트푸드 등 저렴한 음식을 먹다가 큰 맘 먹고 호텔 뷔페에 가서 비싸지만 고급스러운 외식 소비를 했다. 그 결과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어중간한 외식 자영업자들은 폐업으로 몰리고 있다.

(그래픽= 문승용 기자)
법인카드 사용액이 줄어들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법인카드 사용액은 2021년과 2022년 각각 10.4%, 15.8% 증가했으나 2023년엔 증가율이 1.1%로 둔화됐다. 올 1분기에는 전년동기비 0.5% 감소로 전환했다. 1분기는 승진 등 인사철임에도 법카 사용액이 줄어든 것이다.

반면 개인카드 사용액은 작년 9% 증가했고 올 1분기에도 6% 늘어났다. 해외여행·명품 소비는 꾸준하다. 올 1분기 해외여행객 수는 742만명으로 이들은 67억4000만달러를 지출했다. 전년동기(498만명, 56억 8000만달러)보다 49%, 19% 증가했다. 이 정도 증가 속도라면 작년(2272만명, 250억달러) 회복세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크다. 3대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 해외유명 브랜드 매출은 올 1~2월 전년동월비 6%대 증가하다 3월 13.9%나 급증했다. 그러다 4월엔 3.3% 감소했다. 여가 소비는 증가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계 소비(1인 이상 실질, 도시) 중 캠핑, 운동 등이 포함된 오락·문화는 작년 14.9% 늘어났고 올 1분기에도 5.8%(전년동기비) 증가해 전체 소비 항목 중 최대 증가세를 보였다.

소비 구조 변화로 가장 피해를 보는 곳은 외식 자영업자다. 밤 늦게까지 이어졌던 직장인 회식 등 모임 자리가 줄어들면서 자영업자들의 영업시간이 두 세 시간씩 단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점 등의 매출액이 올 들어 감소한 반면 호텔 뷔페, 패스트푸드 등은 매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사람들은 3여년간 누적된 물가상승에 외식비 지출에 신중해졌다. 밀키트로 대체할 수 있는 어중간한 외식업은 문을 닫고 있다. 올 들어 ‘폐업 자영업자’는 한 달에 1만건 이상씩 발생하고 있다. 자영업자 연체율은 11여년 만에 최고치로 높아졌다.

소비 구조 변화는 단순히 고금리·고물가 등 경기적인 요인에 의해 내수경기가 약하다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얘기다. 달라진 소비 구조에 도태된 자영업자에 대한 폐업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소비 구조 변화를 소비 지표들이 제대로 포착하고 있는 지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 민간소비가 예상보다 호조세를 보인 것은 각종 월별 지표들이 소비구조 변화를 제대로 포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소비구조나 행태가 바뀌면서 저녁 회식을 위주로 영업을 하던 음식점들은 파리가 날리는 상황”이라며 “가격이 싼 가성비 좋은 음식점이나 가격이 비싸도 사람들이 몰리는 음식점들은 문제가 아닌데 어중간한 음식점들이 문제이기 때문에 이들은 업종 변경을 할 것인지, 완전히 폐업하고 다른 진로를 찾을 것인지 등을 지원하는 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