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300조 ‘뉴스페이스’ 선점”…우주산업 ‘민간’이 키운다

김정유 기자I 2021.06.22 06:00:00

우주산업 투자 키우는 한화, 5대 추진 분야 확정
KAI·LIG넥스원 초소형 위성·부품 개발 영역 확대
글로벌 우주산업 年 5% 성장, 韓 R&D 4억불 불과
美아르테미스 등 기회 열려, 정부 지원 더 열려야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2800만 달러(한화 312억6000만원).’ 최근 경매에서 낙찰된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와의 우주여행 티켓 가격이다. 베이조스는 자신이 설립한 우주탐사 기업 블루오리진을 통해 다음달 20일 미국 텍시스에서 첫 유인 우주비행을 할 예정이다. 전화로 진행된 이번 경매는 480만 달러로 시작해 159개국, 약 7600명이 뛰어들면서 4분 만에 2000만 달러를 넘어섰고 7분 만에 낙찰됐다. 우주여행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을 한 눈에 보여주는 사례다. 이미 글로벌 시장에선 민간을 중심으로 한 우주산업이 조금씩 현실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내 항공우주업계도 최근 ‘뉴 스페이스’(New space·민간 주도 우주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비록 해외 항공우주 선진국들에 비해 첫걸음은 늦엇지만 최근 뚜렷한 방향성을 갖고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특히 한화그룹,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등 민간 항공우주기업들이 그간 축적한 항공·방산 기술력을 기반으로 뉴 스페이스를 전면에서 이끌고 있다.

◇‘5대 사업 분야’ 설정한 한화 “우주사업 수직계열화 구축”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의 우주사업 총괄 조직인 ‘스페이스 허브’는 최근 우주사업 5대 중점 추진 분야로 △위성체 제조(쎄트렉아이·한화시스템·㈜한화/방산) △지상체 제작·운용(쎄트렉아이·한화시스템) △고체연료 부스터(㈜한화/방산) △엔진·추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방산) △발사대(한화디펜스) 등을 설정, 우주사업을 세분화해 추진키로 결정했다. 올 들어 우주사업 투자를 본격화한 한화가 이처럼 중점 추진사업을 구체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 전략부문장(사장)을 중심으로 올해부터 우주산업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5대 추진 분야를 설정한 만큼 조만간 세부적인 사업 계획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그룹은 올 1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통해 국내 인공위성 전문업체 쎄트렉아이를 인수하며 본격적인 우주사업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회사 관계자는 “미래 성장이 기대되는 위성체 핵심기술을 확보한 국내 기업에 투자, 향후 시너지를 통해 위성 분야의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엔 그룹내 우주사업 총괄 조직 스페이스 허브를 구축한 데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인공위성 통신사업에 투자하기 위해 자회사 한화시스템에 5700억원을 출자키로 했다. 한화그룹은 우주사업 밸류체인을 구축, 국내 항공우주업계에선 가장 빠르게 수직계열화된 자체 사업 솔루션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뉴 스페이스 TF 꾸린 KAI, 초소형 위성 개발 LIG넥스원

정부의 위성개발사업 국산화 개발 분야의 약 80%를 담당하고 있는 KAI도 뉴 스페이스 열차에 올라탄 상태다. 기존의 중대형 위성 제조 중심에서 소형 및 초소형 위성으로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최근엔 사내에 ‘뉴 스페이스 태스크포스(TF)’를 구축하고 KAI 중심의 밸류체인을 만들기 위해 국내외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추진 중이다. 카이스트와 체결한 초소형위성 공동연구 및 항공우주기술연구센터 건립 협력(MOU) 등이 대표적이다. KAI는 초소형 위성 및 위성정보 분야 대상으로 인수합병(M&A)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위성 개발부터 조립·시험, 발사, 운영 및 활용 서비스까지 우주사업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성장은 물론, 항공기 수출과 연게한 위성 패키지 수출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방산사업이 주력인 LIG넥스원도 초소형급 위성 관련 설계·제작 기술 향상, 사업 발굴 등을 추진 중이다. 100kg 이하급 초소형 위성 개발과 오는 2035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출시가 대표적인 사업이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2006년부터 40여개 관련 기업과 KPS 기반기술을 개발해 왔고 지난 1월엔 카이스트와 소형 인공위성 공동연구 개발에 협력키로 하는 등 위성분야 연구개발(R&D)를 지속적으로 확대 중”이라며 “오는 2035년 아시아태평양 시장에서 400조원으로 예상되는 위성항법시장에서 확고한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관심 있지만…업계 “더 전폭적 지원 필요”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글로벌 우주산업 규모는 2018년 3500억 달러(한화 420조원)에서 민간기업 주도 하에 오는 2040년 1조1000억 달러(1320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 5.3%에 달하는 수치다. 기회는 차츰 열리고 있지만 여전히 우주사업과 관련한 한국과 해외 선진국간 격차는 큰 편이다. OECD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민간기업 우주투자 연구개발(R&D) 규모는 4억 달러로 미국(264억 달러), 프랑스(34억 달러), 영국(24억 달러), 독일(20억 달러)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또 한국의 전체 우주개발 예산은 7억2000만 달러로 GDP대비 0.04%에 불과하다. G5 국가들과 비교하면 최저 수준이다.

하지만 최근 기회가 찾아왔다. 한미정상회담 후속조치로 ‘한미 미사일 지침’이 해제되고, 미국 주도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한국이 참여하게 되면서 국내 항공우주기업들의 우주산업 진출 기회가 열렸다. 아르테미스는 국가간 기술개발 프로젝트가 아니라 민간 기업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다. 그간 민간 업체들이 우주사업에 진출할 만한 동기가 부족했다면 아르테미스 참여로 기반을 확보하게 된 셈이다. 현재 국내 업체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 위성 개발에 참여하며 기술력을 축적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는 2027년까지 총 8기의 국가위성이 개발될 예정인데 한화, LIG넥스원, KAI 등이 곳곳에 참여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최근 민간기업들이 발사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내에 다양한 민간발사장을 구축하는 등 적극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민간 업계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국 나사(NASA)가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등에 자연스럽게 기술과 경험을 전달했던 것처럼 민간이 사업을 주도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정부 주도의 우주사업을 추진해왔던만큼 민간이 할 수있는 여지가 크지 않고, 예산도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정부가 ‘브릿지’ 역할을 하고 민간 업체들이 주요 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시장을 열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