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임진모의 樂카페]음악과 자본의 함수관계

김현식 기자I 2024.07.01 06:15:00
[임진모 대중음악평론가] 국내는 물론 세계 음악시장에서 폭발적 성공을 거둔 하이브가 엔터테인먼트 기업 처음으로 대기업집단에 지정되었고 최대주주 방시혁 프로듀서는 이른바 재벌총수로 등극했다. 방탄소년단의 곡이 처음으로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에 선 것 이상으로 경탄할 일이다. 아마 과거 7080시대에 음반제작업에 종사한 사람이라면 격세지감에 어안이 벙벙해질 것이다. 그들은 지금 기준에서는 너무도 영세했던 당시 음악기획사나 프로덕션을 ‘구멍가게’라고 했고, 가요계를 난삽하고 무질서하다는 뜻에서 ‘가요바닥’이라고 자조하곤 했다.

100위 안의 기업 순위, 수조원의 총자산, 공정거래법의 규제 등은 그 시절에는 감히 꿈꿀 수도 없는 용어들이었다. 바닥이었던 가요계가 대기업으로 환골탈태한 한국 대중음악 산업의 이러한 융기와 경이적 성장세는 한없이 자랑스럽다.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은 일제히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외국의 대접이 근본적으로 달라졌음을 실감한다. 모든 분야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그 앞에 K를 붙이는 게 자연스러워졌을 만큼 코리아의 깃발이 여기저기 휘날리고 북이 격하게 고동을 친다. 과거에는 한국하면 ‘코리안 워’(6.25전쟁)였지만 지금은 엄연히 K팝이다. 변방의 소외, 과거의 굴욕은 사라졌다. 문화매력 선두국가로 점프했음을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영미 팝 다음 자리를 두고 라틴팝과 겨룰 지금의 K팝 기세라면 하이브 외에 앞으로 더 많은 엔터사들이 대기업 타이틀을 꿰찰 것이다. 가요제작사가 대기업이 되는 게 득이냐 실이냐는 규제 혹은 자산과 관련한 분석일 테지만 그것과 다른 측면에서 득실을 한번 재볼 게 분명히 존재한다. 어마어마한 자산규모로 이제는 더 이상 음악계를 얕볼 수 없게 됐지만 외형의 폭풍 성장이 과연 전부인가 하는 의문이 반사적으로 생겨나기 때문이다.

솔직히 모든 게 돈인 세상이다. 음악계도 자본의 파장 속에 위치하기에 K팝이 견인하는 비약적 자산증가는 고맙지만 음악마저 돈으로 환산되고 그게 찬양되는 게 과연 기쁘기만 한 일일까. 모든 게 자본으로 계량되는 세상에서 음악과 예술은 그것에 매몰되지 않으려는 항체로서의 기능이 미약해졌는지는 몰라도 엄연히 존재한다. 돈이 음악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은 음악이 전하는 위로의 가치, 다양성의 매혹을 흔들 소지가 있다.

‘아침이슬’의 가수 양희은은 언젠가 이런 말을 했다. “가수와 돈의 관계는 묘해서 가수가 돈을 벌고 있다면 그는 이미 아티스트로서 내리막길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가리키지요. 인기든 위세든 ‘내려갈 때’ 가수는 돈이 벌린다는 거예요.” 한 유명작곡가도 비슷한 말을 했다. “잘 안되다가 한 곡이 성공해 큰돈을 만진 뒤부터 오히려 창의적으로 빛 아닌 그림자를 경험했다.” 대중적 성공이 예술적 성과와 정비례하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반드시 두 요소가 불협화음을 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풍족한 제작환경 속에서 양질의 사운드와 음원이 빚어질 가능성은 높다. 하지만 그건 벌어들인 돈이 음악으로 재투자되어 예술성 확장에 몰입할 때 그렇다. 예술성은 작사·작곡자, 편곡자, 연주자, 그리고 가수 등 이른바 아티스트 최후의 보루다. 한 곡에 쏟아 붓는 그들만의 어휘와 음색, 그 스토리텔링의 진폭이 돈에 앞서 그들을 사로잡는다. 음악관계자들 가운데는 진정성을 품은 뮤지션들의 가슴에 퍼져있는 어떤 ‘결핍’이 가져오는 힘을 신뢰하는 이들이 여전히 많다.

대기업으로의 포효 속에 이것을 잃지 않는다면, 그래서 지속적으로 좋은 음악을 만들어내는 환경을 구축한다면 K팝은 아우라의 궤도 속에 글로벌 울림의 비행을 계속할 것이다. 재정적 성공과 함께 예술적 완성도 제고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멍가게와 가요바닥의 7080 시절은 절대로 돌아갈 수도 없고 돌아가서도 안 된다. 하지만 그때의 음악이 깡그리 잊힌 게 아니라 지금도 전설과 불후의 명곡으로 숭앙되고 있지 않은가. 인디가 그렇듯 음악은 난장이가 쏘아올린 큰 공들이 많다. 그리고 과유불급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