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상하이의 한국 기업들 “한중 자본투자 크게 확대해야”

이승현 기자I 2014.12.22 06:00:22

최양희 장관 상하이 현지기업인 간담회 “10만 중국전문가 필요”

[베이징 = 미래부 공동취재단·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두 나라의 동반성장을 위해 서로간의 자본투자가 적극적으로 일어나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정부가 한중간의 경제교류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20일 오전 중국 상하이 메리어트호텔에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주재로 열린 ‘상하이 현지 기업인 조찬’에서는 이 같은 주장이 줄을 이었다.

신형관 미래에셋 상해 법인장은 “20조 달러의 돈이 중국내부에서 돌고 있는데 조만간 이게 밖으로 나갈 것”이라며 “한국기업들이 더 이상 희망이 안보이거나 자생능력이 없을 때 소유권은 분명히 (중국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 시장에서 만족하지 못한 자본이 조만간 국내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설 것이라는 주장이다.

신 법인장은 “(중국 정부가) 주식을 자국 시장에 상장하기는 어렵게 만들고 M&A 관련 규제는 확 풀었다”며 “향후 3년안에 경쟁력 있는 기업 위주로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조금 지나면 자기들끼리 서로 사고팔게 없을 것”이라며 “결국 한국기업들한테 눈을 돌리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민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상해무역관장도 “중국 기업 가운데 브랜드 디자인 등에서 약간 처지는 기업들이 M&A나 지분투자를 통해 보완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며 텐센트의 CJ게임즈 지분투자 등을 예로 들었다. 그는 “100여건의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 기업 M&A 프로젝트도 돌아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관장은 “중국의 경우 자기들이 실제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소수지분 참여도 편하게 한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항상 50% 이상의 지분을 요구하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최 장관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과거에 M&A 실패를 많이 했지만 (지금은) 그걸 안하고는 발전할 수 없다는 인식이 많다”며 “중국이 훨씬 가능성이 높은 부분도 많은 데 우리나라 큰기업들이 외면하고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

김성욱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중국 기업들이) 많이 추월해 한국기업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의 방향설정과 역할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전문가의 육성이 상당히 중요한 시점”이라며 “중국을 제대로 이해 할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최 장관은 “중국이 제대로 커야 한국이 같이 성장하거나 더 좋은 성장을 할 수 있다”며 “중국은 국경없는 지역이 되었고 동반자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20일 오전 중국 상하이 메리어트호텔에서 ‘상하이 현지 기업인 조찬’을 주재하고 있다. 미래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