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尹, 고심 깊어지는 총리 인선[통실호외]

박태진 기자I 2024.06.08 07:00:00

이르면 이달 말 중폭 개각 단행 전망
‘여소야대’ 국회서 총리 인준 쉽지 않아
한 총리 유임 가닥…장·차관 먼저 교체할 듯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이르면 이달 말 중폭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 후임 인선에는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장관 임명과 달리 총리 임명시에는 국회의 인준이 필수적인데, 여소야대 국회 상황을 고려할 때 쉽지 않은 만큼 더욱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사진=연합뉴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정권 출범부터 지금까지 장관직을 수행해 온 장관들을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도 일부 부처에 대한 개각을 예고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이제 개각이 필요하다. 2년간 정부 출범 이후 장관직을 맡은 분들이 있다”며 “조급하게 할 생각은 없다. 후보 대상이 되는 분들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다 검토를 해서 국민을 위해서 제대로 일할 수 있는 분들을 찾아서 인사를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4·10 총선 직후 사의를 표명하며 거취가 주목됐던 한 총리는 유임할 것으로 보인다. 후임 발표시 국회의 인준을 받지 못하고 탈락하게 된다면 정권의 부담감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22대 국회가 막 출범했지만 여야의 갈등이 격화하고 있어, 정부로서는 후임 총리 임명 절차를 진행하기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아무리 좋은 인물을 추천해도 야당에서 통과시켜 주지 않을 것 같다”며 “정권의 부담만 키울 바엔 한 총리를 유임시켜 내각을 이끌게 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털어놨다.

따라서 후임 총리 임명 절차보다 장관 교체가 선행될 가능성이 크다.

대상은 정권 초기부터 직을 수행해온 장관들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일 비롯,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등 4명은 정권 출범부터 부처를 이끌어왔다. 2022년 10월과 11월 각각 임명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등도 이른바 ‘장수 장관’으로 꼽힌다.

아울러 차관급 인사도 단행될 전망이다. 특히 각 부처에서 대통령실로 파견 나온 실장급(1급) 비서관들도 원대 복귀시 차관으로 임명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적지 않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