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만났습니다]②첫 민간 출신이자 첫 여성 청장, 특허청 체질개선 앞장

박진환 기자I 2022.09.07 06:00:00

지식재산 심사·심판 기능 강화를 최우선적 정책과제로 설정
빠르고 정확한 특허행정 서비스 제공·해외 지재권보호 주력
직원들과의 내부 소통 강조 및 심사관 증원 등 임기중 추진

특허청의 반도체 산업 지원 계획, (그래픽=특허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이인실 특허청장은 특허청 설립 73년 만에 임명된 첫 민간 출신이자 첫 여성 청장이다. 그는 부산대 출신 첫 변리사이자, 한국의 3번째 여성 변리사이다. 또 30년 넘게 변리사로 활동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실현하기 위해 20년 이상 여성단체 활동에 참여하고, 한국여성발명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난 5월 31일 취임과 동시에 이 청장은 특허청 외부는 물론 내부의 여론청취를 통해 조직의 기본적인 운영방향을 설정했다. 그는 “그간 역대 특허청장들이 대외적인 활동을 비롯해 IP(지식재산)의 대중화나 혁신 등을 추진했다면 앞으로는 특허청 본연의 기능인 심사와 심판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정했다”면서 “특허, 상표, 디자인 등 지식재산에 대한 심사와 심판 업무를 통해 국제적인 위상을 제고하고, 국민에 대한 봉사가 이뤄질 수 있다. 또 K-브랜드 등 지식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우리의 역할”이라고 단언했다.

현재 특허청에 재직 중인 2000여명의 직원 중 1400여명이 심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는 “1400여명의 심사관 중 1100명 이상이 행정고시나 박사 특채 등으로 공직에 입문한 고학력 인재들”이라며 “이런 분들은 굉장한 자긍심이 있기 때문에 자신들의 업무를 잘하고 있다. 저는 이분들을 잘 챙기고, 다독거려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지식재산 심사·심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간 한국의 지식재산 심사·심판이 양적 성장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질적 향상에도 신경써야 한다. 이를 위해 심사관 증원과 함께 인사상 인센티브가 같이 수반돼야 한다”며 “한국의 특허행정을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으며, 기업들 입장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특허행정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해외에서의 지재권 침해 사건을 줄이기 위한 방안도 이 청장은 고민하고 있다. 그는 “해외에서 기술 탈취 사건이 많다. 우리 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인력과 예산이 동반돼야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아직도 많은 것이 현실”이라며 “특허관들이 해외 여러나라에 좀 더 많이 파견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청장은 외부 민간인 출신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MZ세대 직원들의 고충을 직접 듣기 위해 내부 소통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특허청에 재직 중인 373명의 직원들이 제시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 시행 가능한 사안에 대해 추진을 검토 중이다. 또 수십건의 검토 결과를 모두 공개해 직원들의 궁금증을 해소시켰다. 수시로 각 부서를 방문해 근무환경을 직접 살펴보고 직원들로부터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청취하고 있다. 그는 “이제는 오랫동안 근무했던 간부들보다 오히려 더 폭넓고 다양한 직원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 특허청 내부 사정을 잘 알게 됐다”며 “조직의 내실을 기하겠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전했다. 이 청장은 “지식재산은 선진국의 여러 실증연구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열쇠이자 원동력이며, 기술패권시대에 국가와 기업 경쟁력의 원천”이라며 “앞으로 지식재산 기반의 역동적 경제성장을 견인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