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물가 넉달째 고공행진, 인플레 우려 방치하면 안 돼

논설 위원I 2021.08.05 06:00:00
소비자물가가 넉달째 고공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통계청이 그제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2.6%로 집계됐다. 지난 4월(2.3%) 이후 넉달 연속 2%대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1월까지만 해도 0.6%로 오히려 저물가가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후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며 정부의 연간 물가 전망치 1.8%와 한국은행의 물가관리 억제선인 2%를 모두 넘어서 인플레 우려를 낳고 있다.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훨씬 심각하다. 지난달 밥상물가(생활물가지수)는 3.4% 올랐고 농·축·수산물 물가는 상승률이 9.6%에 달했다. 농·축·수산물 중에서도 달걀이 57%나 오른 것을 비롯해 고춧가루(34.4%) 마늘(45.9%) 등이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주식인 쌀(14.3%)과 돼지고기(9.9%)에 이르기까지 안 오른 품목이 거의 없으며 주부들은 장 보기가 두려울 정도라고 한다.

소비자물가 급등이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며 하반기에는 안정을 되찾을 것이란 정부 예상은 빗나갔다. 앞으로도 안정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국제유가 상승이 시차를 두고 국내물가에 반영되면 전방위적 물가 상승이 우려된다. 다음 달에는 추석연휴가 들어 있어 물가 불안을 더욱 자극할 전망이다. 여기에다 34조9000억원짜리 초대형 추경예산과 1700만 가구에 1인당 25만원씩 지급되는 5차 재난지원금 집행이 맞물리면 인플레를 가속화할 위험을 안고 있다.

물가 안정의 전통적 정책수단은 금리를 올리는 것이다. 최근 들어 한은이 시장에 금리인상 신호를 보내는 일이 잦아졌다. 한은이 그제 공개한 7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전체 금통위원 7명 중 1명이 기준금리 인상 의견을 낸 것으로 확인된다. 시장에서는 이르면 이달, 늦어도 10월에는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 돌고 있다. 한은 입장에서는 가계부채 급증에 따른 금융 불균형에다 물가압력까지 금리를 올려야 하는 명분이 하나 더 늘었다. 그러나 섣부른 금리 인상이 경제회복의 불씨를 꺼트리게 해서는 안된다는 점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인플레 차단을 위한 한은의 현명한 선택을 기대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