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베이징올림픽 개막… 文 기대한 회담도, 종전도 없다

이정현 기자I 2022.02.04 06:00:00

물거품 된 올림픽 계기 한반도 평화 재개 구상
시진핑 회담도 흐지부지… 한반도 분위기는 험악
임기 종료까지 석 달, 별다른 터닝포인트 없어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종전선언도, 한중정상 간 화상회담도 결국 없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이라는 극적 반전을 꾀하던 문재인 대통령이 쓸쓸한 마음으로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을 지켜보게 됐다. 임기 종료까지 불과 세 달여 남은 가운데 현 상황을 뒤집을 터닝포인트가 없는 게 더 뼈아프다.

문재인 대통령이 설 연휴를 앞둔 28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소회의실에서 코로나19 방역·의료 상황을 점검한뒤 노고를 격려하기 위해 현장 의료진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을 하루 앞둔 3일, 문 대통령이 희망했던 한국전쟁 종전선언은 결국 물거품이 됐다. 지난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남북 관계를 급진전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4개국 간 종전선언 논의를 시작할 기회라 봤으나 올림픽에 대한 미국 등 주요국가들의 외교적 보이콧으로 성사 가능성이 사라진 지 오래다. 문 대통령의 방중 역시 오랜 저울질을 거쳐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사절단 파견으로 귀결된바 있다.

남북관계 개선의 디딤돌 역할이 기대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화상 정상회담도 불투명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중 정상회담은 구체적으로 시기가 결정되지 않았다”면서 “한중 양측은 정상 간 교류가 양국 관계 발전에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로 예정됐던 시 주석의 방한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된 후 두 정상 간 화상 정상회담이 올림픽 개막 이전 열릴 것으로 기대됐으나 유야무야 넘어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달 한중 화상 정상회담을 개최 여부에 “결정된 사항은 없으나 정상 간 교류 중요성을 감안해 (1월 말 화상회담을)양측이 소통 중”이라고 답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베이징 구상이 빗겨간 사이 북한은 최근 잇따른 무력시위를 벌이고 있다. 특히 지난달 30일 북한이 실시한 화성-12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시험발사에 대해 유엔은 모라토리엄 파기로 규정하는 등 분위기가 갈수록 험악해지고 있다. 임기 초 잇따른 남북대화로 한반도 긴장상황을 완화했던 것과는 분위기가 확연히 다르다.

청와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 다양한 계기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진전시킬 방안을 계속 찾고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나 문 대통령이 주도해 현 상황을 타개할 대응책은 마땅찮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개가 요원한 가운데 뾰족한 수 없이 퇴임을 맞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