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열악한 환경공무관 처우 개선에 6억 2000만원 투입

송승현 기자I 2023.02.21 06:00:00

설·추석 연휴 및 여름휴가 시 각종 복리후생비 지급
휴게실 신규 설치와 장비 현대화도 병행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서울시는 자치구 소속 환경공무관보다 근무시간 및 강도, 임금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청소대행업체 환경공무관의 처우 개선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가 신규 설치 예정인 환경공무원이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실의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현재 올 1월 기준 서울시 환경공무관은 총 6775명으로 이 중 자치구 직영으로 운영하는 환경공무관(2534명)은 가로변 청소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나머지는 민간 위탁업체 소속 환경공무관(4241명)으로 종량제 쓰레기(일반, 음식물) 등을 수집하고 운반하는 업무를 담당해 상대적으로 노동 강도가 세고 열악한 근무환경에 놓여 있다.

이번 환경공무관 처우 개선의 주요 내용은 △청소대행 계약 시 원가에 명절 격려품 및 하계휴양소 비용 반영 △쾌적하고 안전한 휴식을 위한 휴게시설 개선 △작업 중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청소장비 현대화 등이다.

먼저 예산 6억 2000만원을 투입해 설날·추석 명절에 1인당 각 5만원의 상품권을 지급한다. 여름휴가 시에는 휴양소 이용비를 1인당 7만 5000원 지원한다. 서울시는 대행업체 소속 환경공무관에 직접적인 비용 지원은 할 수 없으므로, 자치구와 업체 계약 시 원가에 복리후생비용을 추가로 반영하는 방식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직영·대행업체 환경공무관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휴식할 수 있는 휴게실 설치를 위한 장소를 자치구 신청을 받아 확보한다. 청소구역 및 동선을 고려한 최적의 위치를 선정하고, 인원수에 맞는 규모의 공간을 확보(1인당 최소 1.5㎡ 이상)해 환경공무관이 휴식을 취하면서 샤워?세탁 등을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환경공무관 휴게실은 장소가 협소하거나 화장실 등이 낡고 좁아 제대로 휴식을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상당수 휴게실이 내부에 화장실, 샤워실, 세탁시설 등 위생시설이 없어 외부 시설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아울러 청소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친환경 청소장비(전기전동카트 등) 155대 보급 등 장비 현대화로 안전성도 높인다. 구체적으로 주택가 골목길, 시장 등 청소 차량 진입이 어려운 곳에 전기전동카트 50대, 가로 청소용 노면청소기 30대를 보급한다. 이외에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이 없는 친환경 전기 송풍기 75대를 함께 보급한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대행업체 환경공무관은 자치구 소속 환경공무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처우가 열악하다”며 “이번 청소대행계약 원가에 명절 격려 및 하계휴양소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 대행 환경공무관 처우 개선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