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용산 게이트웨이 조성’ 용역 추진…3월부터 계획 수립

이윤화 기자I 2023.02.22 06:00:00

용산역~용산공원 이어지는 공원부지 입체화 방안
22일 입찰공고 실시, 3월부터 계획 수립 착수 예정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서울시가 용산역에서 용산공원으로 이어지는 공원부지 일대에 대한 입체화 방안을 마련하고 핵심 거점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용산 게이트웨이 조성’을 추진한다. 공원부지와 주변 지역을 연계하여 보행과 녹지를 입체적으로 연결하고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용산역 일대를 새로운 중심공간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용산 게이트웨이 조성 기본구상’ 용역에 대한 입찰공고를 실시하고 3월부터 계획 수립에 착수한다고 22일 밝혔다. 용산공원, 용산역, 용산국제업무지구, 한강으로 연결되는 보행·녹지축을 완성하고 광화문, 서울역, 용산, 한강을 잇는 ‘국가상징가로’와 결절점에 대한 상징성을 높여 시너지를 키운단 계획이다.

용산 일대는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기지 반환 및 용산공원 조성이 가속화되고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되는 등 정치·경제·문화 중심지로서 위상과 역할이 강화되고 국민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는 곳이다. 지난해 7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용산공원, 국제업무지구, 한강을 연결하는 보행녹지공간 조성을 제시한 바 있다. 현재 사업시행자인 코레일,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구체적인 개발계획(안)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시는 공원부지 일대를 대중교통과 주변지역이 연계되는 통합적인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먼저 ‘용산 게이트웨이 조성’을 통해 용산공원, 용산국제업무지구 등 핵심거점을 연계하고 한강대로 등으로 단절된 공간을 입체적(지상, 지하)으로 연결하는 보행·녹지 체계를 구축한다.

또 용산역 앞 공원부지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복합문화기능을 확충하고 대중교통체계 및 신분당선 등 장래 교통계획을 고려하여 선제적인 복합기능 공간활용 구상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용산역 전면부는 버스, 지하철, 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편의를 도모하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시민활동의 중심공간으로 만들고, 국가상징축(광화문, 한강) 및 동서연계축(용산역, 용산공원)의 결절점인 한강대로를 중심으로 한 대표적 상징공간 조성방안도 구상한다.

홍선기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용산 게이트웨이는 국제업무지구, 용산공원 등 주요지역을 이어주는 정치·경제·문화의 핵심공간이 될 것“이라면서 ”보행·녹지축 조성 및 입체적 공간활용을 통해 도시공간의 효용을 극대화하고 도시기능이 연계되고 확산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