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춘투 사라지나…노동계 "코로나 고통분담 동참, 파업 자제"

김소연 기자I 2020.03.16 00:00:00

올해 '춘투' 뒤로 밀릴 듯…파업·집회 자제
노동계, 코로나19 피해 노동자 대책 마련 촉구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 선언’이 6일 오전 서울 광화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서 열린 가운데 정부, 경제, 노동 대표자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이데일리 DB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매년 봄마다 어김없이 찾아오던 노동계 춘투(春投)가 올해는 모습을 감출 전망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자 노동계에서도 파업과 집회를 자제하고 임금·단체 교섭 시기를 연기하는 등 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있어서다.

15일 노동계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28일 개최 예정이던 전국노동자대회를 당분간 연기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은 다음 주 열리는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이같은 방침을 공식 결정한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적어도 5월 1일 노동절 집회 전까지는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집회는 개최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지난 6일 ‘코로나19 확산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 선언문’ 발표 당시 당분간 대규모 파업 등의 집회를 자제하고 임금·단체 교섭 시기를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역시 공식적인 입장 표명만 없었을 뿐 한국노총과 마찬가지로 임단협 시기를 연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다만 임단협이 일시 연기됐을 뿐 코로나19가 진정되면 언제든 재개될 예정인데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피해가 컸던 업종을 중심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질 가능성 있다는 점에서 향후 노사갈등이 격화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항공, 관광 등 피해가 큰 업종에서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춘투가 하투로 미뤄졌을 뿐 노사갈등이 더 격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