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우디 "바이든과 원유 증산 논의 없었다…탄소중립 정책, 인플레 촉발"

장영은 기자I 2022.07.17 09:39:36

사우디 외무부 "미국과 정상회담서 원유 관련 논의 없었다"
"당초 계획대로 증산할 것"…탄소중립정책 '비현실적' 비판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치솟는 기름값을 잡기 위해 첫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 방문길에 올랐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 외무부가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원유증산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 (사진= AFP)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파이살 빈 파르한 사우디아라비아 외무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원유 관련 논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3일 취임 후 처음으로 중동 방문에 나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서 이틀간 양측 지도자들과 만났고, 사흘째 사우디를 찾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사실상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등과 확대 실무 회의를 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중동 방문은 에너지 가격 상승을 필두로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뤄진 것으로 더 주목을 받았다. 사우디는 미국, 러시아와 함께 세계 3대 산유국이자 최대 원유 수출국이기 때문이다. 2018년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 이후 껄끄러운 관계를 이어 온 양국 관계를 고려할 때 바이든 대통령으로서는 큰 결심을 한 셈이다.

그만큼 고유가를 잡기 위해서는 걸프 산유국들의 추가 증산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사우디 외교부측의 발표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사우디 방문에서 정작 핵심 의제는 논의하지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걸프협력회의(GCC) 정상회의에도 참석했다.

파르한 장관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시장 상황을 평가해 적절한 생산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히려 빈살만 왕세자는 정상회의에서 유가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서방 주도의 ‘무리한’ 탄소 중립 정책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요 에너지원을 배제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는 비현실적인 에너지 정책은 향후 몇 년 동안 전례 없는 인플레이션과 에너지 가격 상승, 실업률 증가와 심각한 사회 문제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와 지정학적 상황은 세계 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더 많은 공동의 노력을 필요로 하며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은 현실적이고 책임감 있는 접근법을 필요로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사우디는 오는 2027년까지 하루 1300만 배럴까지 증산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를 넘어서는 추가 생산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