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바닥 찍고 무역흑자 2년래 최대…4분기 수출 플러스 청신호

김형욱 기자I 2023.10.04 05:01:00

9월 수출 -4.4%…감소폭 12개월래 최소
반도체수출 100억달러 육박…반등 기대↑
원유가 하락에…무역흑자도 2년래 최대
불확실성 있지만…"10~11월 수출 플러스"

[이데일리 김형욱 강신우 기자] 우리나라 수출이 바닥을 찍고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정부 목표대로 4분기 수출의 플러스(+) 전환에 ‘청신호’가 켜진 모습이다.
(그래픽=김일환 기자)
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 등에 따르면 9월 수출액은 546억6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4.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월간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12개월 연속으로 전년동월대비 감소했다. 2018년 12월∼2020년 1월(14개월간) 이후 가장 긴 연속 수출 감소다. 하지만 감소폭은 올 들어 최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우리나라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99억4000만달러)이 최근 1년내 최대치를 기록하며 감소폭을 13.6%까지 줄였다. 글로벌 수요 부진 탓에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의 국제시세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달 현물 가격이 반등하는 등 수급상황이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반도체업계에선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감산 효과 등이 맞물려 연말께 가격이 반등하고, 수출도 본격 회복세를 띨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15대 수출 품목 가운데 일반기계, 자동차, 철강, 디스플레이, 선박, 가전 등 6개 품목의 수출이 전년대비 플러스를 기록하며 수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중(對中) 수출이 올해 최고 실적인 110억달러를 기록해 2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 수출액을 달성했다. 9월 대중국 무역수지는 1억달러 적자였지만, 작년 10월(-12억6000만달러) 이후 가장 적었다. 대중 무역수지는 지난해 10월부터 1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지만, 올해 3월 이후 6개월 연속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세안 수출(94억1000만달러)도 전년대비 8.0% 줄었으나 감소율이 올 들어 처음으로 한자릿수를 기록하며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509억6000만달러로 전년대비 16.5% 줄었다. 3대 에너지원인 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이 지난해 195억7000만달러에서 올해 135억3000만달러로 30.9%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지난달 37억달러 흑자를 달성했다. 4개월 연속 흑자이자, 2021년 9월 이후 2년 만의 최대 규모 흑자다.

이런 추세라면 10월 이후 연내 수출 반등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제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달 메모리 반도체의 공급초과율(D램 기준)이 2분기 5.0%에서 4분기 -11.5%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연말이 되면 반도체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 가격이 다시 오를 것이란 관측이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약 5분의 1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업황의 반등이 수출의 플러스 전환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월, 늦어도 11월에는 수출이 플러스로 돌아설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여전히 불확실성도 크다.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 흐름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큰 데다,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공급망 재편 움직임도 감지된다. 최근 들어 유가도 다시 들썩이고 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녹록지 않은 대외 여건 속에서도 개선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수출 반등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모든 역량을 결집해 총력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수출이 저점을 확인하는 단계라고 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경기 둔화 우려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불안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