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셀트리온 취업 1번지…1학년부터 '대학원 수준 실험'

서대웅 기자I 2024.06.12 05:00:00

[기술본색 폴리텍]② 바이오캠퍼스
국내 유일 바이오 특성화 대학
카이스트 출신 등 우수한 교수진
소수정예로 '대학원 수준 실험' 진행
취업률 90% 육박.."바이오산업 주도"

[논산(충남)=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지난 5일 충남 논산시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세포배양실습실. 바이오배양공정과 1학년생인 정재영(33) 씨는 ‘바이오 리액터’를 이용해 동물세포를 배양하고 있었다. 동물세포에 먹이를 줘 키운 다음 의약품에 사용할 단백질을 추출하는 작업이다. 이 실습 장비는 2리터짜리지만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리액터를 그대로 본떴다. 바이오 회사에선 공장당 1만 리터짜리를 몇 대씩 둔다. 이걸로 생산 규모를 따진다. 바이오캠퍼스 학장직무대리인 하영주 교수는 “이러한 실습장비는 일부 국공립대, 유명 사립대 정도에만 있다”며 “그마저도 대학원생 위주로 실습 기회가 돌아간다”고 했다.

유전의약분석실에선 바이오의약분석과 2학년생인 최영민(29) 씨가 대장균에서 분리 정제한 DNA를 분석하고 있었다. 유전자 치료제로 쓰이는 DNA가 얼마나 많이 들어 있는지(정량분석), 체료제 생산에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지(정성분석)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 과는 두세 명이 한 조를 이뤄 실습하는 점이 특징이다. 바이오의약분석과 학과장인 장재선 교수는 “현재 유전자치료제 과제팀에 2학년생이 9명이 있고 1~2명의 1학년생을 멘토로 직접 지도하며 과제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전형적인 도제식 교육”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바이오의약분석과 2학년생인 최영민(오른쪽) 씨가 대장균에서 분리 정제한 DNA를 분석하고 있다.(사진=서대웅 기자)
폴리텍 바이오캠퍼스는 국내에서 유일한 바이오 특성화 대학이다. 바이오배양공정과와 바이오의약분석과를 두고 있는 대학은 이곳이 유일하다. 폴리텍 내에서도 바이오 관련 학과(학위과정)로만 운영 중인 ‘바이오 인재양성’ 대표 캠퍼스다. 2000년대 들어 바이오 기업에서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력 수요가 늘어나자 2006년 바이오캠퍼스가 설립됐다. 학과 정원은 25명 정도에 불과하지만 학과마다 카이스트 출신 등 복수의 교수가 소수정예로 수업해 지금은 명실상부한 바이오 특화 인재 양성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대학에서 하기 어려운 실습 위주 교육을 앞세운 결과다. 2년제지만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학점은 90학점 이상이고 60% 이상이 실습으로 이뤄진다. 최영민 씨는 “실습 교육 시간이 아니더라도 미생물에서 원하는 DNA를 추출하거나 동물 세포에 회복 물질을 투입해 얼마나 회복했는지 등 비임상 실험을 학우들과 새벽까지 하는 날이 많다”고 했다. 올해 2월 바이오배양공정과를 졸업하기 전 지난해 10월 셀트리온(068270)에 입사한 양유민(21) 씨는 “현장에서 새로운 실험을 하더라도 학교에서 배운 실습이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며 “팀원 21명 중 3명이 폴리텍 바이오캠퍼스 출신”이라고 했다.

이곳 명성은 국내 유수 대기업의 산학협력 현황에서도 엿볼 수 있다.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2012년부터 전국 전문대 바이오 관련 학과를 대상으로 산학인턴 과정을 운영 중인데, 실무 교육을 폴리텍 바이오캠퍼스 등에서 진행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바이오캠퍼스에 ‘협약반’을 뒀다. 바이오배양공정과 정원은 25명이었지만 협약반이 신설되면서 50명으로 늘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협약반 졸업생을 우선 채용할 예정이다. 이밖에 한미약품은 오는 하반기 바이오캠퍼스와 체험형 산학인턴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취업률은 이미 전국 최고 수준이다. 2022년과 지난해 졸업생의 취업률이 각각 89.5%, 84.5%를 기록했다. 특히 바이오의약분석과는 2022년 졸업생 95%가 취업에 성공한 데 이어 지난해 졸업생 취업률은 100%를 기록, 취업률이 높은 폴리텍 내에서도 전국 1위(2023년 취업우수학과)를 차지했다. 2020년 초 바이오의약분석과 졸업과 동시에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입사한 한 졸업생은 “당시 학과별 정원이 30명이 안됐는데 동기생 여럿이 이 회사에 취업했다”며 “업무 연관성이 높다 보니 회사에 들어온 이후 초기 적응하기가 수월했다”고 말했다.

하영주 교수는 “바이오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지난해 국가전략 기술로 포함하는 등 바이오의약품 생산은 국가적 전략 투자 분야”라고 설명했다. 이어 “바이오산업 역시 꾸준히 변화하고 있어 이에 발맞춰 학과를 개편하는 등 선제적인 인력공급을 주도할 계획”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