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꿈틀대는 증권주…외국인은 벌써 '입질' 시작

김인경 기자I 2023.09.07 06:00:00

최근 한달간 코스피 내려도 증권주는 상승
외국인, 교보증권 9일째 '사자'… 대형사도 눈독
2차전지 열풍 후에도 거래대금 유지…실적 눈높이↑
"부동산 위험노출 여전…중소형사는 주의"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미동조차 하지 않던 증권주가 조금씩 꿈틀대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스(PF) 우려와 차익결제거래(CFD) 사태 속에 증권주를 둘러싼 투심이 가라앉았지만 거래대금이 살아나며 실적 개선을 기대하는 투자자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눈치 빠른 외국인들이 증권주에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증권지수는 최근 한 달 동안 0.30포인트(0.05%) 오른 613.97을 기록했다. KRX증권지수는 미래에셋증권(006800)NH투자증권(005940), 삼성증권(016360), 한국금융지주(071050), 키움증권(039490) 등 13개 증권사로 이뤄진 지수다. 상승세는 미미하지만 코스피가 같은 기간 1.52% 하락한 점과 견주면 눈여겨볼 만한 수치다.

게다가 외국인들이 증권주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실제 이날까지 외국인은 교보증권을 9일 연속 사들였고, 현대차증권 역시 최근 8거래일(8월 25일~9월 5일) 연속 사들이다 6일 630만원 규모를 순매도했다. NH투자증권(005940)삼성증권(016360)도 최근 한 달 동안 각각 288억원, 152억원을 순매수했다. 한국투자증권의 모회사인 한국금융지주(071050) 역시 같은 기간 127억원을 사들였다.

증권주에 대한 외국인의 시각이 달라진 가장 큰 이유는 3분기 실적 기대 탓이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거래대금이 예상보다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증권사들의 실적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7월 코스피의 일 평균 거래대금은 14조1901억원, 8월은 10조8256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12월(6조6458억원)보다 각각 113.5%, 62.9% 많은 수준이다. 게다가 7월의 일 평균 거래대금은 2차전지에 대한 기대감이 부풀며 거래가 폭발하던 4월(12조5904억원)보다도 많다.

코스닥의 일 평균 거래대금도 7월과 8월 각각 12조8272억원, 12조1224억원으로 에코프로 열풍이 한창이던 4월(13조8114억원) 수준과 유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개미투자자들이 모이며 거래대금이 늘어날 경우, 위탁매매(브로커지리) 부분의 수익 기대는 늘어난다.

개인고객에 특화한 키움증권(039490)의 경우, 한 달 전만 해도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1837억원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2072억원 수준의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금융지주(071050)의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도 한 달 전 1779억원에서 2336억원으로 31.3% 늘어났다. NH투자증권(1770억→1887억원),삼성증권(1834억→2055억원)의 영업이익 전망치도 한 달 사이 6.6%, 12.1%씩 증가했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부동산PF에 대한 우려로 증권주는 거래대금 증가 등 브로커리지 실적 개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 했다”고 말했다. 게다가 이달 밀리의서재, 두산로보틱스 등 대어들이 연이어 상장하는 점도 증권사에 호재다.

다만 최근 라임펀드 등을 금융당국이 재수사하는 점은 부담이다. 펀드 등 금융투자상품을 둘러싼 투자심리가 악화할 수 있는데다 충당금 적립 이슈가 다시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늘려놓은 해외 부동산에 대한 위험 노출액(익스포저)도 여전하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국내 25개 증권사의 부동산금융 익스포저는 47조6000억원에 이른다.

이예리 나신평 연구원은 “대형사의 경우, 부동산에서 손실이 난다고 해도 브로커리지와 기업금융(IB) 등을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겠지만 중소형사나 부동산 금융을 중심으로 외형을 키워 온 일부 대형 증권사의 경우, 감내할 수 있는 규모가 작을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