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방북 승인..`5·24조치` 후 첫 문화교류

경향닷컴 기자I 2011.09.03 09:51:29

"정부, 대북정책 유연성" 해석

[경향닷컴 제공] 정부가 2일 조계종 인사들의 방북 법회 참가를 승인했다. 지난해 3월 천안함 침몰 사건 후 ‘5·24 대북제재 조치’를 내놓은 뒤 처음으로 남북 사회문화교류 재개에 물꼬를 튼 것이다. 앞으로 7대 종단 대표단 방북 등 교류·협력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고, 남·북·러 가스관 연결 논의도 활발해 5·24 조치는 금이 가는 중이다.

통일부는 “자승, 영담 스님 등 대한불교조계종 관계자 37명이 평안북도 묘향산 보현사에서 열 ‘팔만대장경 판각 1000년 기념 고불(古佛·고승)법회’ 참석차 3~7일 방북하는 것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조계종 총무원의 영담 총무부장은 “대장경 판각이 몽골 침입을 불교정신으로 이겨내자는 취지였던 것처럼 남북이 하나 되어 평화통일을 이루는 데 일조하는 법회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보현사는 1938년 일제의 대장경 약탈을 우려해 합천 해인사 대장경을 인쇄했던 인경본 전질을 보관하는 곳이다.

합동법회는 심상진 조선불교도연맹 위원장의 환영사와 자승 총무원장의 봉행사로 이어지며, 남북 소통과 합심을 위한 공동 발원문을 낭독할 예정이다. 방북단은 고불법회 외에도 광법사, 법운암 등 사찰을 방문하며 평양도 들를 계획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순수 종교적 목적의 방북이라는 점과 올해가 민족유산인 팔만대장경 판각 1000년이라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방북을 승인했다”고 말했다.

조계종 측의 방북은 수해지역이나 취약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아닌 방북을 엄격히 금지해온 5·24 조치의 ‘균열’이란 의미가 있다. 또한 류우익 통일부 장관 후보자 내정에 즈음해 대북 유연성을 발휘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기독교·불교·천주교·원불교·유교·천도교·민족종교 등 7대 종단 협의체인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지도자들의 방북도 곧 승인될 가능성이 높다. 또 이명박 대통령이 의욕을 보인 남·북·러 천연가스 수송관 연결 사업도 엄밀히 보면 5·24 조치를 건너뛰는 측면이 있다. 정부 고위당국자가 “북한을 통과하는 가스관 사업은 러시아에 대한 직접투자여서 북한 내 신규 투자를 금지한 5·24 조치와 상관없다는 해석을 내렸다”고 한 말도 사실상 해명 차원으로 보인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정부가 겉으로 5·24 조치를 지키면서도 인도적, 종교적 부문 위주로 남북교류를 열어주며 대화 국면으로 전환할 것”이라며 “그러다 보면 정부도 5·24 조치를 부각시키지 않고 비켜 가며 실리를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