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사과 도매가격이 1년 만에 2배 이상 뛰어 10㎏당 9만원대를 기록하는 등 신선과일 중심으로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도 물가잡기에 총력을 기하고 있지만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정 교수는 “현재 우리 농축수산물 유통 구조는 사실상 다단계로 불릴 정도로 상당히 복잡하게 얽혀 있다”며 “이 과정에 많은 이해당사자들이 관계돼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국내 농축수산물 유통은 △농가(출하자) △도매법인 △중도매인 △소매상 등의 단계를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물류비·수수료 등이 추가되며 최종 소비자 가격을 올린다.
그는 “제품의 브랜드 값, 마케팅 비용을 더 덜어내고 소비자들을 위해 생산 원가에 적당한 이윤만 붙여 바로 직거래 할 수 있는 방식을 확대해야 한다”며 “동시에 PB제품을 늘리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유통업체들이 PB제품을 늘릴 경우 타 브랜드 제품의 기회를 뺏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정부는 PB제품 확대를 상당히 규제적 시각으로 보고 있다”며 “하지만 이런 점들은 사후 모니터링을 통해 별도 규제하는 방법을 찾으면 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 교수는 “미국에서도 소비자 후생 확대 방안으로 3가지(품질, 가격, 서비스)를 꼽는데 결국 모든 것이 가격으로 귀결된다”며 “가격을 떨어뜨리는 방법은 유통 구조 혁신과 PB 같은 제품 다양화밖에 답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유통 정책도 이젠 온·오프라인을 완전히 결합해 수립해야 한다고 했다. 플랫폼의 발전으로 기존 유통 산업 역시 다양한 영역과 촘촘히 연결되고 있어서다.
그는 “미국 월마트만 해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적응형 소매’(adaptive retail) 방식에 공을 들이고 있다”며 “온·오프라인 구분 없이 현재 소비자들이 처한 환경에 맞춰 최고의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쿠팡의 매출이 신세계그룹에 견줄 정도로 성장한만큼 정부도 온·오프라인을 구분하지 말고 전체를 망라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적인 사례로 대형마트의 심야배송 금지를 꼽았다. 정 교수는 “대형마트의 심야배송 금지 규제부터 풀어야 한다”며 “이커머스는 이미 24시간 내내 주문·배송하는데 대형마트는 왜 제약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