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안 잡히네…9월도 3% 중반대 전망

하상렬 기자I 2023.10.04 05:00:00

[이데일리폴]9월 소비자물가 전망치 중간값 3.4%
고유가·고환율·추석 계절 요인 등 물가 끌어올려
10월부터 하향 안정되겠지만…둔화 폭 완만해질 듯
"고유가 계속되면 내년에야 2%대 후반으로 떨어져"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 소비자물가가 3.4% 상승해 두달 연속 3%대 중반의 상승폭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국제유가 상승세, 추석 연휴 등이 물가를 끌어올렸을 것이란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8~9월을 정점으로 물가는 점차 하향 안정화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상승폭이 빠르게 둔화하진 않을 것으로 봤다.
(그래픽=문승용 기자)
3일 이데일리가 ‘9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에 앞서 국내 증권사 7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3.4%(중간값)를 기록할 것으로 집계됐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7월(6.3%) 정점을 찍은 뒤, 추세적으로 하락해 올 7월 2.3%까지 떨어졌다가 8월 3.4%까지 치솟으며 7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원화 약세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추석 연휴 등이 3%대 고물가의 배경이 됐다는 평가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는 9월 평균 배럴당 92.8달러를 기록해 8월(86.46달러) 대비 상승했고, 전년동월(90.9달러)과 비교해도 높았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6일 장중 1349.5원까지 올라 연고점을 경신하는 등 9월 한달 동안 30원 가까이 뛰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위원은 “8월 물가 충격에 이어 9월도 3% 중반대의 높은 수준을 예상한다”며 “국제유가 상승과 원화 약세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9월말 명절 연휴에 따른 계절성으로 농축수산물 및 식료품 가격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한국은행도 9월 물가상승률이 8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박창현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장은 지난달 블로그 게시글에서 “9월 물가상승률은 8월 수준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을 가능성이 있다”며 “석유류가격의 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고, 농산물 가격도 기상여건과 추석 수요 등으로 상방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기조적인 물가 흐름은 둔화하고 있다고 평했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달 3.7% 상승할 것”이라며, 8월(3.9%)대비 상승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정여경 NH증권 연구원도 “물가가 8월부터 3%대를 웃돌고 있지만, 기조적 흐름이 바뀌었다기보단 일시적인 변동”이라고 말했다.

10월부터는 물가가 하향 안정 흐름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물가가 2%대 진입하는 시기를 올 4분기에서 내년으로 늦추는 등 둔화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변수는 국제유가 상승세가 얼마나 지속할 지 여부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의 유가 수준이 계속된다면 4분기 물가 상승률은 3%대 초반을 기록할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에야 2%대 후반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예상보다 경기가 좋아 늘어난 선진국 수요가 다시 줄어들 가능성이 큰 데다, 최근 미국과 이란의 관계 복원으로 이란산 원유가 풀리면 유가가 하향 안정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10일 서울 서초구 만남의광장 휴게소에 마련된 알뜰 주유소를 찾은 시민들이 주유를 하고 있다.(사진=방인권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