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거리두기 끝나도 학교는"…5월6일 등교도 밀리나

신하영 기자I 2020.04.21 00:02:00

“생활방역으로 넘어가도 학교는 늦게 열 수 있어”
“싱가포르 등교 뒤 집단감염”…방역당국 ‘신중론’
생활방역 전환 후 등교 준비…단계적 출석 유력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를 완화하면서 전국 초중고교도 5월 6일 이후 등교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온라인 개학 때처럼 입시를 앞둔 중3·고3이 먼저 등교한 뒤 나머지 학년이 단계적으로 출석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특히 등교 이후 집단감염이 발생한 싱가포르 사례를 감안,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더라도 학교는 가장 나중에 열 수 있다는 관측에도 무게가 실린다.

대전생활과학고가 원격수업 현황을 한눈에 살피고 사고발생시 응급조치할 수 있는 원격수업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초중고 등교, 5월 중순으로 밀릴 수도

교육부 고위관계자는 20일 “등교개학은 보수적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라며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생활방역 체계로 전환해도 학교는 가장 나중에 열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싱가포르의 경우 등교개학 후 집단감염이 발생하자 2주 만에 다시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다”며 “학교를 여는 것은 아이들의 안전과 직접 관련된 일로 보수적 자세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이 때문에 정부가 5월 5일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제하더라도 초중고교의 등교 시점은 5월 중순으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등교 개학 이후 집단감염이 발생한 싱가포르의 사례가 나오면서 방역당국이 신중론을 펴고 있어서다.

오는 24일로 예정됐던 서울시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가 사실상 무산된 점도 내달 6일 등교가 힘들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을 싣는다. 서울교육청은 올해 첫 고3 학평을 오는 24일 원격으로 실시한다고 이날 밝혔다. 학생들이 시험지를 받아 집에서 문제를 풀어보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전국단위 성적처리는 하지 않기로 했다.

3월 학평은 학년 초 수험생들이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험이다. 서울교육청이 주관하지만 전국의 고3 수험생들이 참여하는 수능모의평가이기 때문. 당초 3월 초로 예정됐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잇따라 연기되면서 오는 24일에야 치를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전국단위 평가를 하지 않기에 사실상 3월 학평의 의미는 상실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초 서울시교육청이 24일로 3월 학평을 확정하면서 등교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결국 이 또한 무산된 셈이다. ‘일일 신규 확진자 50명 이하’ 생활방역 체계 전환 기준은 마련됐지만 여전히 지역사회 감염이 일어나고 있어 교육부가 서울교육청에 ‘등교 불가’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3·중3부터…단계적 등교 유력

최근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는 지난 18일부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일부터 17일까지 닷새 동안 20명대를 유지하다가 18일부터 10명대로 하락한 뒤 지난 19일에는 8명으로 한자릿 수를 기록했다.

정부는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다음달 5일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제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전망이다. 생활방역은 일상생활과 감염예방활동을 병행하는 것으로 정부차원의 방역이 학교단위나 개인에게 옮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내달 5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 학교도 등교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산발적 집단 감염 없이 학교나 개인 차원에서도 예방활동이 가능한 낙관적 상황일 때 등교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가 등교개학을 결정하더라도 온라인 개학 때처럼 단계적으로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 입시를 앞둔 중3·고3부터 먼저 등교한 뒤 나머지 학년은 나중에 출석하는 방식이다. 수험생이 먼저 등교수업을 병행하면서 학교방역체계를 확인한 뒤 점차 출석 학년을 늘려갈 것으로 보인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1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향후 원격·출석 수업이 병행될 수 있도록 하고 출석 수업을 조금씩 늘려가는 방식으로 등교수업을 확대해 나가면 학교 방역 시스템도 점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