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석 달만에 5배…다시 활기띄는 H지수 ELS 발행

김인경 기자I 2024.06.03 05:30:00

5월 ELS 발행액 1143.7억원…전달보다 400억↑
대규모 녹인에 불완전판매 겹치며 위축됐으나
H지수 올들어서만 10.82%오르며 발행도 활기
中 경제 부활 기대 속 '7000선은 과매수' 목소리도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이 서서히 살아나고 있다. 지난해 대규모 원금손실사태 속에 불완전판매까지 겹치며 사회적 문제가 됐지만, 중국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홍콩증시마저 살아나자 다시 ELS 발행도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래픽=김정훈 기자)
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의 발행 종목(공·사모 포함)은 71개로 전체 금액은 1143억7096만원으로 집계됐다. 석 달 전인 2월(228억5000만원) 발행액의 5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전달(722억2000만원)보다도 400억원 이상 발행액이 증가했다.

홍콩H지수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 50종목을 추려 산출한 지수로 변동성이 크고 경기에 예민해 ELS의 기초자산으로 자주 쓰였다. 하지만 2021년 2월 1만~1만2000선에서 거래되던 지수가 올해 초 5000선 초반까지 떨어졌고 ELS 역시 무더기 원금손실의 원인이 됐다. 이 가운데 파생상품을 투자자들에게 충분한 설명 없이 팔았던 정황들이 발견되며 금융권의 문제로 떠올랐고 이에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의 발행마저 위축된 바 있다.

홍콩H지수 ELS 발행이 다시 확대하고 있는 것은 기초자산인 H지수가 뛰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31일 H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0.37포인트(1.09%) 내린 6392.58에 거래를 마쳤다. 미국의 금리인하 지연 우려로 최근 하락세를 타고 있지만, 올해만 10.82% 상승한 것이다. 특히 지난달 20일에는 6964.99까지 오르며 7000선을 바짝 쫓기도 했다.

홍콩H지수가 뛰는 것은 중국 정부의 부양책 덕분이다. 중국 정부가 중국판 밸류업 프로그램 ‘신(新) 국9조’를 시행한데다 내수 활성화 정책을 펴며 상하이종합지수는 물론, 홍콩H지수까지 덩달아 뛰고 있다. H지수가 상승세를 타며 ELS 자율배상에 나선 은행권의 배상 규모도 소폭 줄어들고 있다.

최설화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홍콩으로의 (해외)자금 유입이 중국본토보다 강하다”면서 “하반기 홍콩H지수는 6000~7800선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기대감을 크게 가져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특히 미국의 대선에서 공화당의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미중 관계 경색이 더욱 심해질 수 있는데다 대만을 둘러싼 긴장도 확대하면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경기침체나 부동산 부채 등을 감안하면 H지수가 7000선 이상 오르는 것은 ‘과매수’ 영역인 만큼, 단기 차익 실현 관점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