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동표본제는 조사 때 표본의 일부는 계속 조사하고, 나머지 부문은 교체해 조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통계청은 지난 2019년 이후 가계동향조사의 표본을 ‘6-6-6 연동표본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표본을 6개월간 연속해서 조사한 후 6개월은 쉬었다가 다시 6개월을 조사한 후 표본에서 빼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응답자의 부담을 덜고 조사원들의 매너리즘을 예방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표본 가구의 1년치 지출 가운데 1~ 6개월치만 조사하기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조사가 이뤄지는 달에 승용차 등 값비싼 제품을 구입할 경우 연간 지출이 과대 반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조사가 이뤄지는 달에 일시적으로 소비가 줄었다면 1년치 지출이 모조리 과소 반영된다.
전체 가구의 평균치는 과대· 과소 반영된 경우가 상쇄할 수 있지만, 가구 단위의 데이터는 실제 지출과는 크게 달라 왜곡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조사 결과는 가구 간 소비 격차가 실제보다 더 벌어진 것으로 나오며, 왜곡 현상은 최근에 더욱 커졌다”고 언급했다.
이에 김 교수는 표본당 12개월의 지출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사 방법을 개선하고, 나아가 신용카드 데이터로 조사 결과를 보정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경우 표본이 직접 지출을 기입하는 가계부 조사와 면접 조사를 병행하고 있다. 면접 조사는 분기에 한 번 실시하지만, 모든 달의 지출 현황 파악이 가능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 2017~2018년에는 면접조사 방식도 진행했지만, 매일 기입하는 방식이 더 구체적으로 조사되는 장점이 있다”며 “신용카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의 경우 반드시 그 가구가 썼다는 보장이 없어 또 다른 왜곡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사의 당초 목적이 전체 가구의 평균을 보려는 것이기 때문에 취지를 구현하는 효율적인 조사 방법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