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책]나약한 개인을 묶는 힘, 의례의 재발견

이윤정 기자I 2024.05.29 03:10:00

인간은 의례를 갈망한다
디미트리스 지갈라타스|408쪽|민음사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1인 가구의 비중은 갈수록 증가하지만,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것이 있다. 바로 의례다. 입학식에 모인 학생들은 눈과 몸으로 새 규칙을 익힌다. 명절에 모인 가족은 차례를 지내면서 집안의 평안을 빈다. 어느 생일 파티에서나 케이크에 초 끄기가 빠지지 않으며, 사람들은 평생 한 번인 결혼식을 위해 막대한 비용을 쓴다.

책은 의례의 기능적 효과를 사회심리학과 뇌과학의 관점에서 설명했다. 실험인류학자인 저자가 전 세계 의례의 현장을 살펴보며 그 효과를 분석했다. ‘의례에는 이유가 없다’를 비롯해 ‘무질서 속의 질서’ ‘희생에서 얻는 것’ ‘건강하고 행복한 의례’ 등 우리 사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의례의 면면을 들여다봤다.

의례의 진정한 효과는 무의미해 보이는 것을 특별하게 만드는 데에서 온다. 의례는 인간의 탄생부터 죽음에 이르는 모든 순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전 세계에는 갓 태어난 아기에게 행하는 탄생 의례가 있다. 죽은 동포를 위해 화려한 무덤을 짓는 장례 의례도 무수히 많다.

의례는 의례의 실천자뿐 아니라 그에 동조하는 사람들까지 하나로 묶는 강력한 접착제다. 스페인의 산페드로 마을 등에서 수행하는 불 건너기 의식에서 이러한 접착 효과를 찾아볼 수 있다. 극한 의례의 참가자들은 소중한 사람을 업고 600도가 넘는 뜨거운 석탄 위를 걷는다. 화상은 물론 생명에 치명적일 수도 있지만, 의식을 행하는 동안 참가자와 마을 공동체 일원은 생리적으로 높은 동조 수치를 보인다.

저자는 “의례에는 나약한 개인을 막강한 사회로 만드는 힘이 있다”고 강조한다. 세계가 분절되고 사회의 안전망이 취약해진 지금, 의례의 재발견은 인간 본성이 가진 연대의 힘을 슬기롭게 사용할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